리더십 특성이론(2), 빅 5 모델(Big 5 Model)


리더십 특성이론(2), 빅 5 모델(Big 5 Model)

오늘은 리더십 특성이론 중에서 빅 5 모델(Big 5 model)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난번 포스팅(리더십 특성이론 중 커크패트릭과 로크의 리더십 특성)에서 리더십 특성이론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했는데요.

다시 복습하면, 리더십 특성이론이란 효과적으로 리더십을 발휘하는 사람들에게는 어떤 공통된 자질과 특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모든 상황에 항상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 특성을 제시하기는 어렵지만 리더로서 갖추어야 할 주요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유용한 이론입니다.

빅 5 모델은 과거에 다양하고 혼란스럽게 연구되어 오던 리더십 특성을 어느 정도 정리, 통합한 이론입니다. 〔빅 5 모델 (Big 5 모델)〕 맥크래와 코스타는 성격에 대한 연구를 통해 빅 5 모델을 개발했습니다(1994).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성격의 5요인 모델입니다. 바람직한 리더가 갖추어야 하는 5가지 성격 특성은 정서적 안정성, 외향성, 개방성, 포용성, 신중성입니다. 1.

정서적 안정성 (Em...


#big5모델 #신중성 #외향성 #정서적안정성 #조직 #직장인 #직장인멘토 #포용성 #회사 #성공직장인멘토 #빅5성격자가진단표 #빅5모델 #개방성 #리더성격 #리더십 #리더십특성이론 #리더의5가지성격특성 #리더의특성 #맥크레와코스타 #바람직한리더의성격특성 #효과적인리더십

원문링크 : 리더십 특성이론(2), 빅 5 모델(Big 5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