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개발 토양 잔류 농약 분석 방법, 국제표준기구 신규 작업안으로 채택


국내 개발 토양 잔류 농약 분석 방법, 국제표준기구 신규 작업안으로 채택

국내 개발 토양 잔류 농약 분석 방법, 국제표준기구 신규 작업안으로 채택 2023.10.29 환경부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금한승)은 국내에서 개발한 토양 잔류 농약 분석 방법을 국제표준기구(ISO)에 제안한 결과, 10월 23일 기준으로 국제표준기구 신규 작업안에 채택됐다고 밝혔다. 국제표준기구 신규 작업안 채택은 국제표준 발간에 앞서 실시하는 행정 절차다.

이번에 채택된 농약 분석 방법*은 ‘기체크로마토그래프-텐덤질량분석법GC-MS/MS)’ 및 '액체크로마토그래프-텐덤질량분석법(LC-MS/MS)‘ 분석장비를 이용하여 토양에 잔류하는 농약 30종(살균제 16종, 살충제 8종, 제초제 6종)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 * 제안자 :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이군택 교수 또한 고려대학교 현승훈 교수가 관련 사업(프로젝트) 책임자(리더)로 수행한 토양 중 퍼클로레이트 분석 방법이 올해 7월 4일 국제표준기구의 공식 표준으로 등재된 바 있다. * 제안자 : 고려대 생명...



원문링크 : 국내 개발 토양 잔류 농약 분석 방법, 국제표준기구 신규 작업안으로 채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