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어도 부어도 차지 않는 술잔이여


부어도 부어도 차지 않는 술잔이여

부어도 부어도 차지 않는 술잔이여! 유배 생활을 했던 조선시대 선비들에게 말벗은 주변의 사물뿐이었다. 그림은 18세기 단원 김홍도의 ‘포의풍류도(布衣風流圖)’. 동아일보 자료 사진 부엌과 방 구분도 없는 작은 집은 높은 울타리로 둘러싸였다. 그 위로 가시나무가 덧대어 있다. 햇볕이 안 들어 대낮인데도 황혼 같다. 음식이 들어오는 울타리 남쪽 작은 구멍이 세상과의 유일한 통로다. 유배지는 무덤이나 다름없었다. 1519년 11월 15일 기묘사화가 있던 날, 정4품 홍문관 응교(應敎)였던 저자 기준(1492∼1521)은 숙직 중에 영문도 모른 채 의금부로 끌려갔다. 조광조(1482∼1519) 등 신진 사류들과 교유했다는 것이 죄목이었다. 그는 27세의 나이에 함경도 온성에 유배됐다. 그가 유배지에서 소통할 수 있었던 것은 주변의 베게. 이불, 술잔, 창문. 울타리, 젓가락뿐이었다. 그는 60개의 ‘말 못하는 친구에게 각각 이름을 붙이고 자신의 생각을 더해 ‘육십명서(六十銘序)’라는 책을 ...



원문링크 : 부어도 부어도 차지 않는 술잔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