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절기와 입춘 24절기 유래와 순서 농사 달력


우리나라 절기와 입춘 24절기 유래와 순서 농사 달력

오늘 2월4일은 24절기 중 봄의 시작인 입춘(立春)입니다. 입춘에는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이라고 입춘문(입춘방,입춘첩)을 대문에 써서 붙이고 우수전에 뗀다고 합니다.

입춘대길 건양다경의 뜻은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한다는 뜻입니다. 입춘대길 건양다경 입춘문, 출처-과힉기술정보부 블로그 그래서 오늘은 우리나라 24절기 유래와 뜻 그리고 24절기 순서와 24절기 달력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절기란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의 구분을 위해 만든것으로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점으로 15도 간격으로 점을 찍어 1년을 24개의 절기로 나누어 구분한 것입니다. 출처: 유투브-목동쌤 소나무한자 즉, 태양의 황경(황도를 360도 나눈 좌표)이 0일때는 춘분, 15도 일때는 청명 30도 일때는 곡우, 345도 일때는 경칩이라고 합니다.

태양의 위치에 따라 360÷15=24절기로 나누기 때문에 24절기는 양력 기준입니다. 24절기 이미지-...


#24절기 #24절기한자 #입춘대길 #입춘대길건양다경 #입춘대길뜻 #입춘대길만사형통 #입춘대길부적 #입춘대길붙이는법 #입춘대길시간 #24절기표 #24절기입춘 #24절기이미지 #24절기달력 #24절기대한 #24절기뜻 #24절기소한 #24절기양력 #24절기우수 #24절기음력 #24절기음식 #입춘대길한자

원문링크 : 우리나라 절기와 입춘 24절기 유래와 순서 농사 달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