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양화편 제9장 시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우리를 표현하며, 우리 사회와 소통할 수 있다


논어 양화편 제9장 시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우리를 표현하며, 우리 사회와 소통할 수 있다

논어 양화편 제9장 시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우리를 표현하며, 우리 사회와 소통할 수 있다 子曰:「小子!何莫學夫詩?詩,可以興,可以觀,可以群,可以怨。邇之事父,遠之事君。多識於鳥獸草木之名。」 "자왈: '소자! 하막학부시? 시, 가이흥, 가이관, 가이군, 가이원. 이지사부, 원지사군. 다식어조수초목지명.'" 논어 양화편 초목 빙 이미지 신출한자 莫: 없을 막 興: 일어날 흥 觀: 볼 관 群: 무리 군 怨: 원망할 원 邇: 가까울 이 識: 알 식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제자들아! 어찌하여 시를 배우지 않느냐? 시는 감흥을 일으킬 수 있고, 세태를 살필 수 있으며,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고, 비판(조언)을 할 수 있다. 가까이는 부모를 잘 섬기고, 멀리는 군주를 잘 섬길 수 있다. 또한, 새와 짐승, 초목의 이름을 많이 알 수 있다. 논어 양화편 새 빙 이미지 해설 이 문장에서는 공자가 제자들에게 시를 배우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공자에 따르면, 시는 사람들에게 감흥을...


#공자 #짐승 #이해 #양화편_제9장 #양화편_9장 #양화편 #시 #숲 #소통 #새 #사회구성원 #문학예술 #논어양화편 #논어_양화편_제9장 #논어_양화편_9장 #논어 #나무 #표현

원문링크 : 논어 양화편 제9장 시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우리를 표현하며, 우리 사회와 소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