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프트 공대, 동물의 뇌에 영감받은 자율비행 드론 개발


델프트 공대, 동물의 뇌에 영감받은 자율비행 드론 개발

네덜란드 공립대학인 델프트 공과대학 연구진이 동물의 뇌 동작을 모방한 뉴로모픽 비전 투 컨트롤 시스템을 사용한 자율비행 드론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2024년 5월 15일자 사이언스 로보틱스지에 게재된 논문에서 델프트 공대 연구진이 자율비행을 위해 뉴로모픽 시각제어를 사용하는 드론을 최초로 실증했는데요. 뉴로모픽 엔지니어링이란 80년대 '카버 미드'가 개발한 개념의 하나로 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생물학적 구조를 모방하기 위해 아날로그 회로를 포함한 초고밀도 집적 회로 시스템의 이용하는 기술을 말하는데요.

요즘 개발되는 AI칩이 기존 반도체의 아키텍처 기반(폰 노이만 방식)으로 설계 되었다면 뉴로모픽 칩은 생물의 뉴런 시스템을 하드웨어로 모방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28,800개의 뉴런이 5단계의 스파킹 신경망을 사용하여 카메라로 촬영된 원시 데이터를 매핑하여 분석하고 환경 내에서 드론의 3D 움직임을 추정하도록 설계되었다고 합니다.

일반적인 인공지능은 GPU에 상당한...


#Loihi #인텔 #인공지능 #신경망방식 #소형로봇 #사이언스지 #드론 #동물의뇌 #델프트공대 #뉴로모픽 #논문 #고효율 #경량화 #자율비행

원문링크 : 델프트 공대, 동물의 뇌에 영감받은 자율비행 드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