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경에 나오는 거대한 수


불경에 나오는 거대한 수

“일(一)·십(十)·백(百)·천(千)·만(萬)·억(億)·조(兆)·경(京)·해(垓)·자(秭)·양(穰)·구(溝)·간(澗)·정(正)·재(載)·극(極)·[[항하사(恒河沙)]]·[[아승기(阿僧祇)]]·[[나유타(那由他)]]·불가사의(不可思議)·무량수(無量數)” 우리가 사용하는 이러한 [[명수법(命數法)]]은 이미 후한(後漢) 때의 서악(徐岳)이 지은 《수술기유(數術記遺)》에서 재(載)까지의 단위가 쓰여 있다. 극(極)부터 무량수(無量數)까지는 원대(元代)의 주세걸(朱世傑)이 지은 《[[산학계몽(算學啓蒙)]]》에 처음 등장하는데, 극 이후는 모두 불경에서 유래한 용어이다.

그러나 중국의 수체계는 용어만 빌렸을 뿐 실제 불경에 나온 크기나 순서와 일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위의 명수법에서는 나유타가 아승기보다 크지.....


원문링크 : 불경에 나오는 거대한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