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이 반짝거리는 이유


별이 반짝거리는 이유

빛은 공기에서 물속으로 진입할때, 굴절을 하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우주에서 날아온 별빛이 지구 대기 및 수증기를 지날때, 굴절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지구 대기나 수증기는 항상 움직이고 있어서, 지상에서 별을 관측하는 사람에게는 별 빛의 굴절 방향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결국 별 빛이 반짝 거리는 것처럼 보이게 되죠. 지구 대기의 이동 속도가 빠르면 빠를 수록 반짝거리는 정도는 더 큰데, 이것을 보고 시상효과(Seeing Effect)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시상효과 때문에 천체 관측시 분해능이 100배나 떨어지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천문학에서는 1990년대부터는 적응광학이란 분야가 새로 생길 정도였죠....


원문링크 : 별이 반짝거리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