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내 주위에는 왜 멍청이가 많을까 - 장 프랑수아 마르미옹


2. 내 주위에는 왜 멍청이가 많을까 - 장 프랑수아 마르미옹

2024.03 나중에 읽고자 쓰는 글 내 주위에는 왜 멍청이가 많을까 저자 장 프랑수아 마르미옹 출판 시공사 발매 2020.02.20. 2. 뇌의 자연적 논리 우리는 문제가 생길 때 그 요인을 명제논리로 해석한다.

즉 우리의 경험과 상관없이 추상적인 공식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챙 과 홀리오크 의 실용적 추론 도식 이론 예를 들어 '만일 a이면 b이다 : a, 그러므로 b이다.'

(전건 긍정 논리) 혹은 '만일 a이면 b이다 : 그러나 b가 아니다. 그러므로 a가 아니다.'

(후건 부정 논리) 존슨 레어드 의 정신 모델 이론 인간은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을 조건 형식으로 생각한다. (만일 ~하다면) 이 같은 사고에서는 앞의 조건에 따라 이후에 조건이 결정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가 빨리 오면 위험하니까 길을 건너지 않는다와 같이 우리는 단순한 논리 규칙이 아니라 예시나 반례로 나타나는 상징으로 사고한다. 뇌의 자연적 논리라고 표현해 둔 부분 어디서 읽었던 건데 이런 식의 사고를 하는 이유가...


#기록 #내주위에는왜멍청이가많을까 #장프랑수아마르미옹

원문링크 : 2. 내 주위에는 왜 멍청이가 많을까 - 장 프랑수아 마르미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