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노무가이드 - 연장수당, 야간수당, 휴일근로수당 기준


(근로기준법)노무가이드 - 연장수당, 야간수당, 휴일근로수당 기준

연장, 야간, 휴일근로수당은 어떨 때 얼마나 지급해야 하나요? 근로기준법에 따라 상시 근로자 수가 5인 이상인 사업장에서는 근로자가 법정근로시간(혹은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해서 일하거나 야간에 근무할 경우 평소보다 더 많은 임금을 가산(더하여 셈함)해서 지급하도록 돼있는데요.

보통 시간외근로수당이나 초과근로수당으로 불리는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 이 3가지가 이에 해당되는 수당(가산임금)들이죠. 1. 5인 이상 사업장부터 가산임금 지급 의무가 생깁니다. 먼저 사업체 규모에 따라서 연장근로에 대한 제한 규정과 시간외근로수당 지불 의무가 다르게 적용된다는 사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기준법에서는 1일 8시간, 1주 40시간을 기준 근로시간으로 정하고 있는데요. 법으로 정한 근로시간이기 때문에 이를 법정근로시간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사용자와 근로자는 이 범위 안에서 근로시간을 결정해야 하는데 양측이 합의해서 근로계약서에 적어놓은 근로시간을 소정근로시간이라고 부릅니다. 법에 따...


#법정근로시간 #휴일근로 #통상임금 #유급휴일 #연장수당 #연장근로 #약정휴일 #야간수당 #야간근로 #시간외근로수당 #소정근로시간 #법정휴일 #휴일근로수당

원문링크 : (근로기준법)노무가이드 - 연장수당, 야간수당, 휴일근로수당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