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천수(滴天髓) 격국론(格局論)


적천수(滴天髓) 격국론(格局論)

적천수(滴天髓) 격국론(格局論) 재성과 관성 인성은 편과 정으로 나누며 식신상관을 논하여 여덟 가지 격국을 정한다. 멀리서 영향을 주는 것은 이미 헛된 것이며 잡기재관과 같은 것에 구애받아서는 안 된다.

정격(正格)에는 관인(官印) 재관(財官) 살인(殺印) 재살(財殺) 식신제살(食神制殺) 상관생재(傷官生財) 상관패인(傷官佩印) 등이 있고 변격(變格)에는 종아(從兒) 종재(從財) 종살(從殺) 종강(從强) 종왕(從旺) 종기(從氣) 종세(從勢) 일행득기(一行得氣) 양기성상(兩氣成像) 등이 있다. 여덟 가지의 격국은 명리 이론가운데 가장 올바른 이치인바 먼저 월령을 보고 어느 지지를 얻었는지 다음에 천간에 누가 투출되었는가를 보고 다시 무엇이 사령인지 연구하여 진가를 정하고 그리고 나서 용신의 청탁도 살펴보는 .....


원문링크 : 적천수(滴天髓) 격국론(格局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