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후론(調候論),궁통보감(窮通寶鑑) 갑목(甲木) 인묘진사오미월


조후론(調候論),궁통보감(窮通寶鑑) 갑목(甲木) 인묘진사오미월

조후론(調候論),궁통보감(窮通寶鑑) 甲木 인묘진사오미월 조후론(調候論),궁통보감(窮通寶鑑) 1.甲木 寅月甲木 丙/癸 입춘절이라 한기가 미진(未盡)하니 丙火가 투출하여 보온함이 길하고 癸水가 암장되어 목근(木根)을 자윤(滋潤)하면 귀격이며 어린 싹이므로 금극(金剋)을 꺼린다. 우수(雨水)후에는 木의 정기(正氣)가 돌아오니 火가 있으면 목화통명(木火通明)으로 부귀요 金이 있으면 재목(材木)을 작성하여 귀격이다.

土는 착근(着根)의 이(利)가 있으나 수성(水盛)하면 불길하다. 卯月甲木 庚/火土 목왕절에 특히 월건양인이므로 왕중왕(旺中旺)이라 만일 庚金이 투간하면 양인합살격(陽刃合殺格)이 된다.

이때 木은 극강하고 칠살(七殺)인 庚金은 약한 상태이니 제살함은 불가하고 土로서 칠살을 생조함이 필요한바 이는 귀격으.....


원문링크 : 조후론(調候論),궁통보감(窮通寶鑑) 갑목(甲木) 인묘진사오미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