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기초] 십간론(十干論) 甲木(갑목) / 乙木(을목)


[명리학기초] 십간론(十干論) 甲木(갑목) / 乙木(을목)

십간론(十干論) 01.甲木 甲木 체상(體象) 甲木天干作首排 갑목은 천간의 맨 앞머리에 놓이고 原無枝葉與根荄 본래 가지 잎 뿌리도 없는 것이며 欲存天地千年久 천지에 오래도록 존재하고자 한다면 直向沙泥万丈埋 사토(未)나 습토(辰)에 깊이 묻혀야 하고 斲就棟梁金得用 깎아 동량을 이루면 쓰임을 얻으나 化成灰炭火爲災 불에 타게 되면 재가 되는 재앙이 있으며 蠢然塊物無機事 무기물의 덩어리를 움직이는 작용력은 없어도 一任春秋自往來 이를 맡아 춘추를 왕래할 수 있다. 甲木의 특성과 강약 ①甲木은 乙木이 도움도 안 되고 필요도 없다.

甲木이 약하여 癸水가 돕는데 옆에 乙木이 있으면 오히려 癸水를 흡수해가는 겁재탈인(劫財奪印)의 작용이 되어 불리하다. ②甲木의 가장 양호한 뿌리는 辰과 未이다. ③甲木은 癸水 인.....


원문링크 : [명리학기초] 십간론(十干論) 甲木(갑목) / 乙木(을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