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통계학 #7) 독립사상


(수리통계학 #7) 독립사상

1. 독립사상의 정의독립사상이란, 한 사상의 발생여부가 다른 사상의 발생에 대한 확률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P(A) = P(A|B) 또는 P(B)= P(B|A)임을 의미하며 이를 앞이 곱법칙과 연계하면 다음의 식이 만족한다. 따라서 사상 A와 사상 B가 독립(stochastically independent)이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은 P(A∩B) =P(A)·P(B)다.

위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 종속(dependent)라고 한다. 2. 독립사상의 성질 만약 A와 B가 독립사상들이라면, 다음의 두 사상들 역시 독립이다. (1) A와 BC[증명]P(Bc|A) = 1 - P(B|A)를 만족한다.

따라서따러서 A와 Bc는 독립이다.(2) Ac와 B[증명]P(Ac|B) = 1 - P(A|B)를..........



원문링크 : (수리통계학 #7) 독립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