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주가와 '마일스톤 징크스' 이야기


삼성전자 주가와 '마일스톤 징크스' 이야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마일스톤 징크스'에 대해 이야기 해봅니다.

마일스톤 징크스 수많은 돈이 오가는 주식시장에는 온갖 이론과 현상 그리고 징크스가 난무합니다. 이들 중에 '마일스톤 징크스(Milestone Jinx)'라는 것이 있습니다.

마일스톤은 '이정표' 혹은 '획기적인 사실이나 사건'을 뜻합니다. 따라서 마일스톤 징크스는 주식시장에서 큰 단위의 지수가 바뀌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지수가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우리나라 코스피 지수의 경우에는 1500, 2000, 2500 등과 같은 특정 분기점을 지칭합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 지수가 2,000을 앞두고 주춤거린다면 투자자들이 현재를 고점이라 인식하고 차익 실현을 하면서 주가가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마일스톤 징크스는 큰 단위로의 수치 변화를 두려워하는 투자자들의 집단 심리가 주가지수에 반영된 것입니다. 실제로 1989년 3월에 코스피 지수가 1,000을 돌파한 이후에 하락세를 보이다가 2005년이 되어서야 1...


#동학개미 #삼성전자주가

원문링크 : 삼성전자 주가와 '마일스톤 징크스'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