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 정리] 역행렬과 Numpy 구현


[선형대수 정리] 역행렬과 Numpy 구현

역행렬 개념 아래와 같은 식을 만족하면 역행렬이 존재하는 것이다. 어떤 행렬의 역행렬이 존재하려면 det(A) ≠ 0 이여야한다. 즉 행렬식이 0이면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다. 어떤 행렬의 역행렬이 존재하면 해당 행렬은 **가역행렬(invertible Matrix)**라고 한다.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으면 **특이 행렬(Singular Matrix)**라고 부른다. 2 x 2 역행렬 구하기 역행렬 구하는 공식 계산 예시 행렬A의 행렬식이 0 이 아니므로, 가역 행렬임을 알 수 있고, 역행렬을 구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A와 A역행렬을 곱하면 I 행렬이 나옴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성질 행렬 A, B가 가역행렬일때 아래의 공식을 만족한다. N x N의 역행렬 구하기 이전 포스팅에서 여인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웠다. adj(A)는 수반 행렬(adjoint of A) 로 여인수 행렬을 전치 행렬한 행렬이다. 예시 계산을 통해 구해보자. 1. 지난 시간 여인수 전개를 통해 행렬식을 ...


#numpy #선형대수 #역행렬

원문링크 : [선형대수 정리] 역행렬과 Numpy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