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근이 주어진 이차방정식 근과 계수의 관계 암기법


두 근이 주어진 이차방정식 근과 계수의 관계 암기법

지금까지 주어진 이차방정식에 대한 풀이나, 근의 개수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였다. 근의 개수와 실근을 갖을 조건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길 바란다.

이차방정식 3. 근의 개수, 실근의 존재조건 ( 판별식 ) 중학교 이차방정식 목차 완전제곱식 구조 성질 조건 https://blog.naver.com/olhohyun/223094201004 이차방... blog.naver.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근의 조건을 이용해 이차방정식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자.

본론에 들어가기 앞서 여기서 사용될 수학논리를 정리하고 넘어가자. 수학논리 ( 필요충분조건) 다음의 순서를 바꾼 명제를 살펴보자.

명제 1 : ( A ) ( B ) = 0 이면 A = 0 또는 B = 0 이다. (참) 명제 2 : A = 0 또는 B = 0 이면 ( A ) ( B ) = 0 이다.

(참) 두 명제가 모두 참이 되므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정리] ( A ) ( B ) = 0 과 A = 0 또는 ...


#근과계수관계 #근이주어진이차방정식 #두근의곱 #두근의합 #이차방정식 #이차방정식구하기

원문링크 : 두 근이 주어진 이차방정식 근과 계수의 관계 암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