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COD (화학적 산소요구량) DO (용존산소량)


B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COD (화학적 산소요구량) DO (용존산소량)

수질을 측정하는 지표로는 B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COD (화학적 산소요구량) DO (용존산소량) 이렇게 3가지가 있습니다. 고등학교 과학 시간에 배우는 내용 중 하나이며, 만약 대학교에서 생명과학이나 환경과학, 화학 등의 관련 학문을 전공할 경우 매우 비중있게 학습하는 내용이기도 하지요.

더 나아가 대학원에서는 위 지표를 특정 지역에서 주기적으로 측정함으로써 논문을 작성하는 경우도 흔한 듯합니다. 여러분은 B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COD (화학적 산소요구량) DO (용존산소량)이 각각 무엇이며, 측정값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어떻게 측정하는 것인지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계신가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B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COD (화학적 산소요구량) DO (용존산소량) 각각에 대해서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일단 정의를 설명드린 후, 수질오염 지표이니만큼 측정값의 높낮음이 무엇을 나타나는 것인지,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것인지 등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도록 할게요.

일...


#BOD #용존산소량 #생물학적산소요구량 #docod #dobod #DO #CODDO #CODBOD #COD #BODDO #BODCOD #화학적산소요구량

원문링크 : B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COD (화학적 산소요구량) DO (용존산소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