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과 실천의 관계


이론과 실천의 관계

나는 페미니즘을 포함한 여타의 '좋은' 이론은 '좋은' 실천이며 운동이라고 생각한다 ..[중략]..

강의나 강연을 할 때 늘 받는 질문이 있다. '이론과 실천/운동'의 관계에 대한 질문이다.

나는 학교에서 정규과목으로 '자크 데리다' 수업을 할 때, 학기가 끝나는 마지막 시간에는 학생들에게 돌아가면서 데리다를 공부한 '이전'과 '이후'에 대해 자신의 경험을 말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곤 한다. 그런데 놀랍게도 다수의 학생들이 데리다의 해체이론이 얼마나 자신들의 구체적인 사유방식과 행동방식을 바꾸게 되었으며, '실천적'인지를 '고백'하곤 한다.

구체적으로, 신문을 읽고 해석하는 방식, 정치적 이슈에 대해 스스로 비판적 해석을 하는 방식, 타자와 관계 맺는 방식 등으로 참으로 구체적인 실천적 변화가 있었다는 것이다. 더구나 데리다를 공부하는 데에 '이론적' 의미만 있을 뿐 그러한 '실천적' 의미를 거의 기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

[중략].. 이론과 실천의 관계는 1960년대 이후 활발하...



원문링크 : 이론과 실천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