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과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비교 (3) 하이델베르크에만 있는 문답들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과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비교 (3) 하이델베르크에만 있는 문답들

Intro 지난 글에 이어서 소요리문답과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비교하려고 한다. 이번에는 소요리문답이 등장하지 않는데, 소요리문답의 순서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다루었기 때문이다.

소요리문답을 이미 다 다루었기에, 소요리문답에는 없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만 남았다. 소요리문답에는 없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만 존재하는 문답들 아래의 내용을 보면서 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는 있고 소요리문답에는 없는지 살펴보면 두 문답을 작성하게 만든 각 문답의 철학을 깨달을 수 있을 듯하다.

기본적으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은 에큐메니컬한 부분이 없지 않다. 물론 에큐메니컬이라고 해서 자유주의 신학을 포용한다거나 하는 건 아니고, 칼빈주의와 루터란과 같은 당시 개신교 내에서의 에큐메니컬이다.

즉, 이단과 가톨릭을 제외한 프로테스탄트 신학을 포용한 신학이라고 생각하면 좋다. (그래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은 개혁주의 전통 위에 서 있으면서도 소요리문답에서처럼 개혁주의를 노골적으로 드러내지 않는다.

그...


#하이델베르크요리문답

원문링크 :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과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비교 (3) 하이델베르크에만 있는 문답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