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금리인상 정점 채권투자 방법: 한국 vs 미국 국채 투자


기준 금리인상 정점 채권투자 방법: 한국 vs 미국 국채 투자

아직 바닥은 끝나지 않았다? 채권투자에 집중하는 투자자들 요즘 핫한 투자 자산이 하나 있다.

글을 쓰고 있는 3/30일 나온 기사인데 "금융자산 30억원 이상 초고액자산가들의 올해 3.21까지 금융상품 투자 비중 중에서 채권 비중이 무려 67.4%"로 나타났다는 것. 그리고 2위는 발행어음(21.7%)이었다.

또한 이들의 전체 비중에서 1 위를 차지한 것은 바로 회사채였다. 신용등급 AA-부터 Ao까지의 회사채 비중이 작년 25.5%에서 올해 61%로 대폭 상승, 그 다음이 국공채(20.1%) 였다.

고액자산가들 뿐만 아니라 개인, 외인들도 모두 합세했는데, 신기한 건 개인, 외국인들은 회사채보다 국채에 더 많은 투자를 했다는 점이다. 3월 30일 금융투자협회 자료에 따르면 SVB 유동성 위기가 가시화된 이번달 3월 10일 이후 3월 30일까지 개인은 9,737억 원, 외국인은 약 6조 8,439억 원의 국채를 사들였다고 한다. 해당 수치는 작년 같은 기간 대비 크게 늘어난 수치이다...


#국채투자 #채권투자 #채권금리 #미국채권 #미국국채투자 #미국국채금리 #미국국채 #기준금리인상 #금리인상 #한국국채

원문링크 : 기준 금리인상 정점 채권투자 방법: 한국 vs 미국 국채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