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간이과세자 적용기준 안내 및 세금신고, 일반과세자와의 차이점


2024 간이과세자 적용기준 안내 및 세금신고, 일반과세자와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이로운 세무회계 컨설팅 박시현 세무사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달라지는 간이과세자 적용기준과 함께 간이과세자의 세금신고 및 일반과세자와의 차이점 까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이과세자 vs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는 세율, 세금신고, 세금계산서 발급에서 차이가 있는데요, 세율이 10%인 일반과세자와 달리 간이과세자는 부가가치세를 매출만으로 세액을 계산합니다.

부가가치세액 = 공급대가 x 업종별 부가가치율(15~40%)x 세율(10%) 세금 계산서 발급은 연매출 4,800만원 미만의 사업자는 발급받을 수 없으며, 영수증만 발급 가능합니다. 따라서 사업초기에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를 고민하고 있는 경우 위와같은 세금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는데요, 사업초기 비용이 크다면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아 비용처리 후 환급을 받을 수 있는 일반과세자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매출이 크지 않다면 간이과세자로 시작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2024 간이과세자 적용...


#간이과세일반과세 #간이과세일반과세차이점 #간이과세자세금계산 #간이과세자세금신고 #간이과세자적용기준

원문링크 : 2024 간이과세자 적용기준 안내 및 세금신고, 일반과세자와의 차이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