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수취 제도


고려의 수취 제도

세목 조 조세율 : 민전(1/10), 공전(1/4), 사전(1결당 5되) 부과 기준 : 휴한 빈도에 따라 상등전, 중등전, 하등전의 3등급 구분 운송 : 조창 집결 후 조운을 통해 개경으로 운송 포 : 공물(토산물, 포) 징수, 경제적 능력 참작 추정, 상공과 별공 등으로 구성, 공안을 토대로 군현 단위 징수 역 요역 : 공역 - 축성이나 궁궐 건립 등에 필요한 노동력 징발, 공역/수역 - 현물세 수취 운반에 필요한 노동력 징발 군역 : 일정 기간 군인으로 복무 기준 : 인정의 다과에 따른 9등호제에 따라 부과, 양반, 승려, 질병자 등은 면제 잡세 : 대체로 고려 중기 이후 등장, 상요, 잡공, 시탄공, 염세, 어량세, 선박세, 산세 등 부과 수취체제의 변동 배경 : 고려 후기 사회 변화와 부곡제 해체, 재정 수요 증대 등 수취 제도 변화 촉진 여러 세목의 등장 : 상요와 잡공 등 여러 세목이 점차 등장 대납의 일상화 : 공물의 대납과 방납이 일반화 요역 징발 기준의 변화 : 자산...



원문링크 : 고려의 수취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