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감사법인(외감법인)의 대상기준과 조건


외부감사법인(외감법인)의 대상기준과 조건

오늘은 '외감법인', '외부감사법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외감대상법인'이라는 말도 자주 씁니다.

"외감'이란 '외부감사'의 준말인데, '외부감사법(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서 회사가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를 받아야 하는 법적 의무를 말합니다. 보통 외부감사 대상이 아닌 일반 중소기업들의 경우, 매년 기업회계기준에 입각하여 재무제표를 만들기는 하지만 제반 회계기준을 원칙대로 반영하거나 이행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표 처리하고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등 재무제표 작성 과정에서 편법과 분식이 있기도 합니다. 무지로 인해 원칙이 없는 회계자료를 만들기도 하고요.

사실 중소기업들은 세무사(또는 세무법인)의 도움을 받으면서 전표 정리하고, 세무조정계산서를 만들고 세금을 내기 위한 목적(세무신고 목적)으로 회계자료 만드는 게 가장 큰 이유입니다. 하지만 회사 규모가 어느 정도 된다면 국가 차원에서 투자자와 종업원을 보호하고, 신뢰성있는 경영활동 기반을 유지하기 위해...


#감사 #외부감사의대상 #외부감사인 #주식회사 #주식회사등의외부감사에관한법률 #중소기업 #직장인 #직장인멘토 #투명경영 #외부감사법인조건 #외부감사법인요건 #기업회계기준 #상장법인 #성공직장인멘토 #외감대상법인 #외감법인 #외부감사법 #외부감사법인 #외부감사법인대상기준 #회계감사

원문링크 : 외부감사법인(외감법인)의 대상기준과 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