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장회사 사외이사의 조건과 역할_상장회사 부분도 포함


비상장회사 사외이사의 조건과 역할_상장회사 부분도 포함

오늘은 '사외이사'의 정의, 그리고 역할과 조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그런데 상장회사와 비상장회사에 따라서 '사외이사'의 조건이 달라지므로 이를 구분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저를 포함, 이웃님들은 비상장회사와 관련된 분들이 많으시니~. 주식회사의 이사회는 이사진으로 구성되는데 이사는 상법에 따라 3인 이상이어야 합니다(여기서 말하는 이사는 등기이사를 말함).

다만, 자본 총액이 5억 원 미만 회사는 1~2인으로 할 수도 있습니다. 보통 작은 규모 중소기업들은 오너가 사장 직을 수행하면서 이사회도 1인 이사(등기 대표이사)로만 구성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뭐 1인 독재체제지요~. 상법상 비상장회사는 사외이사를 꼭 임명해야 할 의무는 없습니다.

비상장회사의 경우에는 이사진이 대부분 사내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외이사가 임명되어 있는 경우는 적습니다만, 여러가지 이유로 사외이사를 임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상법상 사외이사의 조건을 충족시켜야 합니다.

《비상장회사의 사외이사 조건...


#경영진 #직장인멘토 #직장인 #주주총회 #이사회 #이사진 #성공직장인멘토 #상장회사 #상장법인 #사외이사의조건 #사외이사의역할 #사외이사 #비상장회사 #비상장법인 #등기이사 #회사

원문링크 : 비상장회사 사외이사의 조건과 역할_상장회사 부분도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