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향당편 제3장 대화 상대방과 원활한 소통을 위해 손 모양과 몸의 자세 등을 잘 유지해야 한다


논어 향당편 제3장 대화 상대방과 원활한 소통을 위해 손 모양과 몸의 자세 등을 잘 유지해야 한다

논어 향당편 제3장 대화 상대방과 원활한 소통을 위해 손 모양과 몸의 자세 등을 잘 유지해야 한다 君召使擯,色勃如也,足躩如也。揖所與立,左右手。

衣前後,襜如也。趨進,翼如也。

賓退,必復命曰:「賓不顧矣。」 군소사빈,색발여야,족곽여야.

읍소여립,좌우수. 의전후,첨여야.

추진,익여야. 빈퇴, 필복명왈: '빈불고의.‘ 논어 향당편 응대 빙 이미지 신출한자 "擯(인도할 빈)", "勃(우쩍 일어날 발)", "躩(바삐갈 곽)", "揖(읍할 읍)", "襜(옷자락 첨)", "趨(달릴 추)", "復(돌아올 복)", "命(목숨 명)“ 해석 임금이 공자를 불러 빈객을 접대하게 하시면, 얼굴빛을 긴장한 듯하게 하며, 발걸음을 빨리하셨다.

함께 선 사람에게 읍할 때는, 왼손과 오른손을 돌려 읍하셨다. 옷의 앞뒤를 가지런히 여미시고, 종종걸음으로 나아가실 때는 마치 새가 날개를 편듯 하셨다.

빈객이 물러가면 반드시 돌아와 "빈객이 돌아보지 않고 잘 떠나셨습니다"라고 복명하셨다. 논어 향당편 임금 빙 이미지 교훈 이 ...


#공자 #향당편_3장 #향당편 #자세 #영접 #손동작 #대화 #논어향당편 #논어_향당편_제3장 #논어_향당편_3장 #논어 #향당편_제3장

원문링크 : 논어 향당편 제3장 대화 상대방과 원활한 소통을 위해 손 모양과 몸의 자세 등을 잘 유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