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미라’, 결국 ‘문화재’ 대접 못받았다…‘중요출토자료’에 그친 이유


‘조선 미라’, 결국 ‘문화재’ 대접 못받았다…‘중요출토자료’에 그친 이유

[이기환의 Hi-story] 미라 하면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왕)인 투탕카멘(재위 기원전 1361∼기원전 1352)을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되죠. 9살의 어린 나이로 등극한 뒤 불과 9년 만인 18살에 죽는 바람에 별다른 업적은 기록되지 않은 군주죠. 그러나 1922년 영국 고고학자 하워드 카터(1874~1939)에 의해 그의 미라가 발견됨으로써 일약 유명세를 탔죠. 그런데 이집트 미라는 모든 장기를 제거하고 방부 처리하는 인위적인 과정을 거쳤죠. 한마디로 ‘인공미라’입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미라는 이집트 투탕카멘과 알프스 얼음인간 ‘외치’지만 한국 미라의 학술적인 가치도 엄청나다. 특히 한국 미라들은 시신훼손을 불효로 낙인찍는 유교의 전통 사회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남았다.|단국대 석주선박물관·고려대박물관 제공 얼음인간 외치가 나타났다 그러나 1991년 9월 알프스의 빙하지대에서 유럽은 물론 전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자연 미라’가 발견됩니다. 독일인 등산객 부부가 알프스 빙하지대인 ...


#무연고시신 #미라 #이집트파라오투탕카멘 #회곽묘

원문링크 : ‘조선 미라’, 결국 ‘문화재’ 대접 못받았다…‘중요출토자료’에 그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