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국어학자 주시경


대한민국의 국어학자 주시경

주시경한국어의 중세 시대를 끝내고, 근대성을 지닌 언어의 반열에 올려놓은 한국어의 아버지이자 한글의 아버지 대한민국의 국어학자이며, 언어민족주의자이다. 호는 '한힌샘', '한흰매'이며 별칭은 '초명 상호' 이다.

'한글'이라는 말부터 '한(큰, 많은, 넓은)' + '글'이라는 뜻에서 주시경이 지은 이름이라고 한다. 주시경의 제자들 또한 뒤이어 국어 연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한국어를 연구하고 한글을 쓰기 쉽게 다듬어, 한국어를 근대성을 지닌 언어의 반열에 올려놓는 데 이바지했다. 생전 황해도 봉산군 출생, 본관은 상주이며 아버지는 주면석(周冕錫), 어머니는 연안 이씨이며 주시경은 상주 주씨 17세손이다.

주시경이 국어를 연구하게 된 계기는 어릴 때 서당에서 한문을 배우다가 한문 강독법에 의문을 품은 데.....


원문링크 : 대한민국의 국어학자 주시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