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위험지수'와 한국의 소멸위험 지역 현황


'지방소멸위험지수'와 한국의 소멸위험 지역 현황

올해 3월 말 한국고용정보원에서 발행한 '통계로 본 지역고용 보고서'에는 지방소멸위험 지역의 최근 현황과 특징들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보고서에서 지방소멸위험 지역을 파악할 때 사용하는 '지방소멸위험지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방소멸위험지수 지방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인구 수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입니다. 지방소멸위험지수 = 20~39세 여성인구 수 /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 일본의 도쿄대 사회학자 마스다 히로야 교수가 자국 내 지방이 쇠퇴해 가는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내놓은 <지방 소멸>에 제시한 분석 기법에 기초해 개발된 것이라고 합니다. 지수의 수치가 낮다는 것은 인구의 유출과 유입 등 다른 변수가 크게 작용하지 않을 경우 약 30년 뒤에는 해당 지역이 없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이 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되고 0.5 ~ 1.0인 경우 소멸 주의, 1.0 ~ 1.5인 경우 보통, 1.5 이상이면 소멸 위험이 매우 낮은 소...



원문링크 : '지방소멸위험지수'와 한국의 소멸위험 지역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