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주택의 주택수 계산 방법과 상속으로 인한 1세대2주택 비과세 특례


상속주택의 주택수 계산 방법과 상속으로 인한 1세대2주택 비과세 특례

[세법톡톡] 상속주택의 주택수 계산은 어떻게 할까? 상속으로 인하여 취득한 주택, 상속주택은 각종 세법에서 주택수에서 제외하는 규정 및 특례를 두고 있습니다. 이 달에는 각각의 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상속주택의 주택수 계산방법과 상속으로 인한 1세대2주택 비과세 특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취득세 “상속개일로부터 5년이내 상속주택은 주택수에서 제외한다” 취득세의 경우 1세대 다주택자의 한하여 주택매매 및 증여시 취득세를 중과세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1세대 다주택 여부 판단에 있어 상속주택의 경우 아래와 같이 판단하게 됩니다. 지분 상속 등 다양한 상속 상황을 고려하여 상속개시일로부터 5년 이내에는 상속주택을 소유 주택 수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상속개시일로부터 5년까지는 상속 주택을 소유하고 있더라도, 추가 취득 주택은 1주택 세율(1~3%)이 적용된다. 하지만 5년이 지나 상속주택을 계속 소유하는 경우에는 주택 수에 포함된다. 만약, 2020.8.12. 이전...


#공동상속주택 #상속주택주택수포함 #상속주택종부세 #상속주택양도소득세 #상속주택양도세 #상속주택비과세조건 #상속주택비과세요건 #상속주택비과세 #상속주택공동소유 #상속주택1세대2주택 #상속주택취득세

원문링크 : 상속주택의 주택수 계산 방법과 상속으로 인한 1세대2주택 비과세 특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