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합리적인 소비를 유도하는 미끼효과 이야기


비합리적인 소비를 유도하는 미끼효과 이야기

미끼 효과 미국 헐리웃 영화를 보면 주인공이나 주인공 주변 사람들이 스스로 '미끼'가 되어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또 영어를 잘 몰라도 가끔 자막과 함께 귀에 들어오는 단어가 있는데, 바로 미끼를 뜻하는 영어 단어 베이트(bait)입니다.

이와 함께 decoy라는 단어는 흔치 않게 사용되는데 모두 같은 뜻입니다. '미끼 효과(decoy effect)'란, 경제학에서 두 가지 선택지를 놓고 고민하는 경우에 새로운 선택지가 등장해 기존의 특정 선택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때 새로운 선택지를 미끼라고 부릅니다. 즉 두 상품을 놓고 고민하던 소비자가 새로운 상품이 나타나면 구입을 고민하던 기존 두 가지 상품 중에서 한 상품의 선호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일반 자장면, 해물 자장면, 특해물 자장면 미끼 효과의 가장 대표적인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며칠 전까지 자주 가던 중국 음식점에는 일반 자장면(6,000원), 해물 자장면(8,000원)...


#경제 #쇼핑 #비합리적인소비 #불필요한소비 #바겐세일 #미끼효과 #미끼매물 #목표상품 #마케팅기법 #합리적선택

원문링크 : 비합리적인 소비를 유도하는 미끼효과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