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이기는 쉬워도 줄이기는 어려운 '소비'에 대한 이야기


늘이기는 쉬워도 줄이기는 어려운 '소비'에 대한 이야기

톱니 효과 미국의 경제학자인 듀센베리(James Stemble Duesenberry)는 1949년 자신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경제주체들의 특이한 행태를 지적했습니다. 즉 사람들은 소득이 증가할 때 소비를 늘리지만, 반대로 소득이 감소해도 소비를 쉽게 줄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는 돈벌이가 좋을 때 형성된 소비 습관은 주머니 사정이 어려워져도 고치기 어렵다는 의미로, 늘리기는 쉬워도 줄이기는 어렵다는 것입니다. 이런 현상은 특별히 경제학자가 설명을 하지 않더라도 우리가 쉽게 수긍을 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이것을 좀 어렵게 말하면, 경기 후퇴기와 회복기에 있어서의 소비함수의 경사도는 호황기의 경사도보다는 완만하게 됩니다. 즉, 소비의 감소 폭이 별로 크지 않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호황기에는 소비가 급속도로 상승하지만 경기후퇴기에는 급격한 저하가 억제됩니다. 듀센베리는 이와 같은 지그재그의 운동을 보고 '톱니효과(Ratchet effect)'라고 명명한 것입니다.

단속적 효과 톱니 효...


#건전한소비 #단속적효과 #소비 #소비습관 #점진적기능추가경쟁 #점진적피로누적 #톱니효과

원문링크 : 늘이기는 쉬워도 줄이기는 어려운 '소비'에 대한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