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완전제곱식 조건 성질 구조 필요충분조건


중학교 완전제곱식 조건 성질 구조 필요충분조건

이차식은 앞으로 수학을 공부할 때 가장 많이 등장하는 식중 하나이고, 완전제곱식은 앞으로 다룰 이차식을 다루는 기본적인 도구이므로 정확히 이해하고 넘어가야 한다. 완전제곱식의 구조 완전제곱식이란 ( a + b ) 2 꼴이거나 상수 (k) 가 곱해진 k ( a + b ) 2 꼴이다. k ( a + b ) 2 = ka2 + 2kab + kb2 의 항들을 비교하면 아래의 관계식을 얻는다. ( 일차항 )2 = 4 ( 이차항 ) ( 상수항 ) 이 과정을 자세히 서술해 보면 다음과 같다.

완전제곱식의 구조 한 문자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된 식에 대하여 1. 그 식이 완전제곱식 이면 (일차항)2 = 4 (이차항) (상수항) 을 만족한다. 2.

(일차항)2 = 4 (이차항) (상수항) 을 만족하면 주어진식은 완전제곱식 이다. 따라서 한 문자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된 식에서 완전제곱식이란 말은 (일차항)2 = 4 (이차항) (상수항) 과 동일한 말이다.

고등학교 수학용어인 필요충분조건을 사용하여...


#고1수학 #중학교수학 #중3수학 #정리 #이차함수유도 #이차함수꼭짓점 #이차함수 #이차방정식 #완전제곱식구조 #완전제곱식 #완벽정리 #노트정리 #근의공식유도 #고등학교수학 #판별식

원문링크 : 중학교 완전제곱식 조건 성질 구조 필요충분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