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위를 가지게 되었을 때 귀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1)


권위를 가지게 되었을 때 귀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1)

1. "권위를 가지게 되었을 때"라고 표현하기는 했지만, 이것을 권위라 불러야 할지 모르겠다.

아무튼 "유무형의 어떠한 힘을 가지게 되었을 때" 라고 표현하고 싶다. 일단 권위가 무엇인지 살펴보자.

남을 지휘하거나 통솔하여 따르게 하는 힘. 권위는 또 다른 유사한 개념인 권력과 비교해볼 수 있다.

권력(Power)이 사회 관습, 법 등 사람의 욕망을 통제하는 정당성(Legitimacy)을 획득했을 때 이는 권위(Authority)가 되어 사람들을 통솔한다. 즉 권위라는 표현 자체에는 이미 "정당하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으며, "정당한 권위"라는 표현은 의미의 중복이 되는 셈이다.

거꾸로 말해 권력은 정당성을 갖추지 못한 강제력(Coercion)이다. 갑질은 권력이다.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권위다. 막스 베버에 의하면 권위는 그것을 정당하게 여겨지도록 만들어 주는 근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세 가지 종류로 유형화되는데 전통적 권위, 카리스마적 권위, 합법적 권위가 그것이다.

전통적 ...



원문링크 : 권위를 가지게 되었을 때 귀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