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2주차 - 로마서 3장 20절 7장 7-25절 율법의 기능과 사람의 목적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2주차 - 로마서 3장 20절 7장 7-25절 율법의 기능과 사람의 목적

Intro 교회에 대해 두 가지 상반된 반응이 있다. 둘 다 교회를 안 다니는 사람들이 교회를 싫어하는 이유로 꼽는 문제들이다.

하나는 교회 다니는데 왜 저러냐는 율법주의적 시선이고, 다른 하나는 교회 다니는 사람들이 자신을 정죄하고 재단할 거 같다는 반 율법주의적인 시선이다. 조금만 제대로 안다면, 교회에 대한 저 두 가지 접근 방법 모두 교회에 대해, 그리고 성경에 대해 아주 조금의 이해도 없었다는 것을 알게 될 거다.

제대로 복음을 아는 교회라면 율법주의도, 반 율법주의도 모두 반대한다. 사실상 교회는 "모든 사람은 죄인이다"라는 기본 가정 위에 서 있다.

원래 사람은 죄 없이 창조되었지만, 그리고 죄 없는 상태가 가장 이상적인 모습이지만 아담의 타락으로 그것이 깨어지고 말았다는 것이 바로 복음의 전제이다. 죄 없이 창조되었기 때문에 사람은 죄 없는 상태를 바라며 구하게 된다.

그것이 개인의 도덕이든 사회의 정의이든 말이다. (그래서 기독교의 가르침은, 이상적인 상황에서는 성선...


#2주차 #3문 #3장 #7장 #기능 #로마서 #요리문답 #율법 #하이델베르크

원문링크 :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2주차 - 로마서 3장 20절 7장 7-25절 율법의 기능과 사람의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