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mun_know의 등록된 링크

 hanmun_know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41건입니다.

예기(禮記), 예기정의 한문 원문 .hwp [내부링크]

예기(禮記)는 오경의 하나이고, 예기정의(禮記正義)는 정현이 주석을 달고, 후에 여기에 공영달이 다시 정리한 것이라고 함. 예기, 예기정의에 대하여 자세한 것은 아래 주소 참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7886 첨부파일 예기.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예기정의.hwp 파일 다운로드 예기정의 출처는 미상이다.

사다리 타기 게임 (간단히 웹에서 실행) [내부링크]

사다리 타기 게임이다. 사다리 간에 교차가 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바로 실행이 되고, 자바스크립트 소스 볼 수 있다. 약간 불편함이 있지만, 모바일(안드)에서도 실행 가능함. https://gb-gold.blogspot.com/2020/02/blog-post_70.html

걸리버 여행기 영어 원문(hwp) [내부링크]

조나단 스위프트(Jonathan Swift)의 걸리버 여행기(Gulliver's Travels)의 영어 원문이다. 출처: http://www.gutenberg.org/files/829/829-h/829-h.htm 첨부파일 걸리버여행기.hwp 파일 다운로드

동이전(東夷傳) 한문 원문 (hwp) [내부링크]

중국 25사(史) 중에 동이(東夷)에 관한 기록을 엮은 것이 이른바 ‘동이전’이다. 인터넷에 널리 퍼져 있는 동이전(東夷傳)의 원문 파일(hwp)이 주해 부분을 괄호 처리로 되어 있는데, 여기에 가독의 편의를 위해 주해 부분을 파란 글자로 수정, 편집하여 올린다. #동이전 #東夷傳 #원문 첨부파일 동이전(수정).hwp 파일 다운로드

추측하기 어려운 한자 어휘 [내부링크]

한자 어휘 중에 그 한자가 어떤 뜻의 한자인지 짐작하기 쉬운 것도 있고 어려운 것도 있다. 가령, 남녀(男女), 남탕(男湯), 남학생(男學生), 남아(男兒)에서 ‘남’자는 男(사내)자임을, 남향(南向), 남풍(南風), 남북(南北)에서는 ‘남’자가 南(남녘)자임을 어렵지 않게 유추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한자인지 추측하기 어려운 한자도 있다. 아래에 열거함. 絶: 아주 뛰어난 ex) 絶景(절경) 絶妙(절묘) 絶好(절호)의 기회 重: 두번, 다시 ex) 重複(중복) 重疊(중첩) 二重(이중) 當: 바로 그 ~(어떤 때나 장소에 해당하는), 이번 ~ ex) 當時(당시) 當場(당장) 當日(당일) 當月(당월) 素: 본바탕 그대로 꾸밈, 첨가를 하지 않은 ex) 素麪(소면) 素服(소복) 素描(소묘) 義: 인공의 ex) 義齒(의치) 義足(의족) 突: 부딪히다 ex) 衝突(충돌) 追突(추돌) 所: ~하는 것(바) ex) 所重(소중) 所願(소원) 所用(소용) 所感(소감) 可: 가히 ~하다(~스럽다

숫자를 한글로 바꿔 비밀번호 사용하기 [내부링크]

2011-08-06 13:20:23 숫자를 한글로 바꿔 이용하면, 숫자보다는 암기하기가 편해서 긴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남이 번호를 짐작하기 힘들다는 이점이 있는 듯하다. 숫자를 한글로 바꾸는 것을 설명하면, 옆에 보듯이 숫자에 한글 자음을 배속한다. 빠진 ‘ㅊ, ㅋ, ㅌ, ㅍ’은 각각 ‘ㅈ, ㄱ, ㄷ, ㅂ’에 배속한다. 숫자의 한글 배속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ㄱ, ㄲ, ㅋ 2: ㄴ 3: ㄷ, ㄸ, ㅌ 4: ㄹ 5: ㅁ 6: ㅂ, ㅃ, ㅍ 7: ㅅ, ㅆ 8: ㅇ 9: ㅈ, ㅉ, ㅊ 0: ㅎ 이제 이런 방식으로 비밀번호 실제 사용해 보자. 가령 비밀번호가 “열려라참깨”면 각 음절의 자음 첫머리(ㅇ,ㄹ,ㄹ,ㅊ,ㄲ)만 입력하니, “8, 4, 4, 9, 1”를 누르면 된다. 그러니까 실제로 비밀번호는 ‘84491’인데 ‘열려라참깨’로 한글로 변환하여 사용한 셈이다. 인터넷에서 암호를 한글로 입력해도 실제는 영어가 입력되는 것과 비슷한 원리이다. 그래서 만약에 ‘대한민국무궁화’를 비

삼국사기, 삼국유사, 일본서기 원문 [내부링크]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일본서기(日本書紀) 원문(hwp)이다. 첨부파일 삼국사기.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삼국유사.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일본서기.hwp 파일 다운로드 #일본서기 #日本書紀 #삼국사기 #삼국유사

논형, 논형교석 한문 원문 (hwp) [내부링크]

논형(論衡), 논형교석(論衡校釋) 원문이다. 논형은 왕충(王充)이 저술한 것이고, 논형교석은 황휘(黃暉)가 찬한 것이다. 논형교석 출처 (서문, 부록 포함): http://lib.ecit.edu.cn/guoxue/%D7%D3%B2%BF/lhjs/index.htm 첨부파일 논형.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논형교석.hwp 파일 다운로드 #논형 #논형교석 #원문(한문) #왕충 #황휘

육십 갑자(甲子) 순서 구하는 방법 [내부링크]

갑자(甲子), 을축(乙丑) 같은 60 간지(干支)의 순서를 알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를 위해서는, 우선 최소한 10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과 12지(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의 각각의 순서는 알고 있어야 한다. 공식은 다음과 같다. 순서= (干-支)÷2×12+支 단, 干이 支보다 작을 때는 干에 10을 더해 준다. 예를 들면, ‘壬辰(임진)’은 壬이 순서가 9이고 辰은 5이니, (9-5)/2*12+5= 29이니, 壬辰(임진)은 간지 순서가 29번째가 된다. (‘/’은 나눗셈 기호를, ‘*’은 곱셈 기호를 나타낸다.) ‘己未(기미)’는 己가 6이고, 未가 8이라 간(干)이 지(支)보다 작으니 간(干)에 10을 더하여, (6+10-8)/2*12+ 8= 56이 된다. 이것을 프로그래밍 비슷하게 표현하면, if(천간< 지지) 천간+= 10 순서= (干-支)/2*12+ 지지 또 다른 방법이 있다. 간(干)은 무조건 1의 자리가 되고, 지(支)에서 간(干)을 빼고 2로 나누면 10의 자리

적천수, 궁통보감, 연해자평 원문 .hwp [내부링크]

아래 첨부한 적천수(滴天髓)에 궁통보감(窮通寶鑑)이 같이 실려 있다. 출처는 중화권 사이트이다. 자평진전(子平眞詮)은 흔히 연해자평(淵海子平)이라고도 하는데, 출처는 미상이다. 첨부파일 적천수.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자평진전.hwp 파일 다운로드 #적천수 #궁통보감 #연해자평 #자평진전

엑셀) 특정 날짜의 간지를 구하는 엑셀 함수 [내부링크]

특정한 날의 간지(60갑자)를 구하는 엑셀 함수이다. 매크로를 이용하지 않고 함수만으로 가능하다. 단 DAYS() 함수 때문에 1900년 2월 21일 이후부터만 적용 가능하다. =MID("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MOD(DAYS(TODAY(),"1900-2-21"), 10)+1, 1) & MID("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MOD(DAYS(TODAY(), "1900-2-21"), 12)+1, 1) *이 블로그가 펌 방지 설정이라 복사가 안 되니, 위에 함수식 복사하려면 아래 링크 https://gb-gold.blogspot.com/2023/12/blog-post.html TODAY() 두 군데를, 특정 날짜(양력)로 바꾸면 된다. 위 함수식을 셀에 붙여넣기 했는데 제대로 작동이 안 될 때는, 먼저 셀에 =를 입력하고 붙여넣기 하면 된다. 문자열을 甲子~癸亥 이렇게 길게 입력하면, 한 번에 간지를 구하기 가능. #양력 #날짜 #간지 #변환 #엑셀 #함수

삼국지(삼국지연의) 한문 원문 .hwp [내부링크]

유비, 조조, 제갈공명 등이 나오는 소설 삼국지연의(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삼국지라고 하고, 중국에서는 삼국연의라고 한다고 한다)의 한문 원문이다. 무슨 본인지는 모르겠다. 출처: http://cls.hs.yzu.edu.tw/san/default.asp 첨부파일 삼국지연의.hwp 파일 다운로드 #삼국지 #삼국지연의 #원문

묵자(墨子) 묵자간고 원문 .hwp [내부링크]

묵자간고(墨子閒詁)는 청(淸)나라 손이양(孫台讓)이 주석한 것이라고 함. 출처는 묵자- '한국사사료사연구소' 묵자간고(墨子閒詁)- chinapage.com 첨부파일 묵자.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묵자간고.hwp 파일 다운로드

열녀전(列女傳) 원문(hwp), 열녀전보주(pdf) 링크 [내부링크]

열녀전(列女傳): 한(漢)나라 유향이 편찬. 열녀전보주(_補注): 청(淸) 왕조원(王照圓) 찬. 열녀전 백문은 hwp 형태이고, 열녀전보주는 pdf 링크만 걸어둠. 용량(73M)이 크니 주의 바람. (원문 출처가 중화권이면 대개 웹페이지 형태로 있어서, 그것을 hwp 파일로 편집한 것임. 여기 블로그에 올리는 한문 원문 파일(hwp)은 거의 그러함.) 출처(백문): http://zh.wikisource.org/wiki/%E5%88%97%E5%A5%B3%E5%82%B3 첨부파일 열녀전.hwp 파일 다운로드 열녀전보주(.pdf 73M):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NTL-9900008103_%E5%88%97%E5%A5%B3%E5%82%B3%E8%A3%9C%E8%A8%BB.pdf File:NTL-9900008103 列女傳補註.pdf - Wikimedia Commons File : NTL-9900008103 列女傳補註.pdf File File h

안자춘추(晏子春秋), 안자춘추집석 원문 [내부링크]

2012-06-30 14:29:32 안자춘추(晏子春秋)는 춘추시대 제(齊)나라의 재상 안영(晏嬰)의 언행을 후세에 기록했다는 책이다. 책의 구성은 내편(內篇)과 외편(外篇)으로 나뉘고, 내편은 諫上, 諫下, 問上, 問下, 雜上, 雜下 이렇게 여섯 편으로 이루어져 있고, 외편은 두 편으로 구성되었다. 이 안자춘추에 오측우(吳則虞)가 주해한 것이 안자춘추집석(晏子春秋集釋)이다. 출처는 안자춘추는 한국사사료연구소이고, 안자춘추집석은 본래 아래 링크이고 거기에 있는 것을 서식을 약간 수정한 것이다. http://www.chianapage.com 첨부파일 안자춘추.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晏子春秋集釋.hwp 파일 다운로드

산해경(山海經), 산해경교주 원문 .hwp [내부링크]

산해경과 산해경교주(山海經校註) 한문 원문 hwp 파일. 산행경교주 출처가 연식이 조금 된 것이라, 그 당시 웹에 입력 불가 한자들이 적지 않아서, 깨진 한자가 더러 있으니 감안하기 바람. 산해경 파일은 그런 문제는 거의 없는 듯함. 산해경 출처: http://www.davincimap.co.kr/davBase/Source/davSource.jsp?Job=Body&SourID=SOUR002051&Lang=%ED%95%9C%EB%AC%B8&Page=1 첨부파일 산해경.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산해경교주.hwp 파일 다운로드

십팔사략(十八史略) 원문 .hwp [내부링크]

아래 첨부 파일은 출처가 일본 웹이라 일본어 해설 부분은 삭제했음. 본문과 주해 부분이 뒤섞여서 읽기에 불편함이 있음. 출처: http://suisui.ojaru.jp/18_genbun.html 첨부파일 18사략.hwp 파일 다운로드 검색해 보니, 한문 원문, 주해(알아보기 쉽게 편집함), 우리말 해석까지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하는 블르그가 있네요. 아래 링크.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ewwiz&logNo=220306826268

사기삼가주 열전(列傳. 사기열전), 세가(世家) 원문 .hwp [내부링크]

사기 삼가주(三家注)는 남조 송나라 배인(裵駰)의 《집해(集解)》와 당나라 사마정(司馬貞)의 《색은(索隱)》, 당나라 장수절(張守節)의 《정의(正義)》를 합한 것이라고 함. 출처: http://www.chinapage.com 첨부파일 사기열전주.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사기세가주.hwp 파일 다운로드

회남자(淮南子 /hwp), 회남자집석(/djvu) 원문 [내부링크]

회남자(淮南子): 유안(劉安) 저 회남자집석(淮南子集釋) : 하녕(何寧) 주석 회남자는 hwp 형태이고, 회남자집석은 djvu 형태인데, 수마트라 pdf 같은 것을 이용하여 볼 수 있음. 회남자집석은 용량(52MB)이 커서 네이버박스로 링크 걸어 놓음. 출처: 회남자- 한국사 사료 연구소 회남자집석- http://ishare.iask.sina.com.cn/search.php?key=%BB%B4%C4%CF%D7%D3%BC%AF%E1%8C&from=ws&classid=6653 첨부파일 회남자.hwp 파일 다운로드 회남자집석.djvu http://naver.me/x6U73J2U

고려사(세가), 고려사(열전) 원문 .hwp [내부링크]

고려사 세가, 고려사 열전 한문 원문 hwp 형식. 아래 출처 주소는 원출처는 아니고, 관련이 있어 보이는 구글 검색 결과임. 출처: (한국사사료연구소) https://www.krpia.co.kr/searchNew/product?keyword=%ED%95%9C%EA%B5%AD%EC%82%AC%EC%82%AC%EB%A3%8C%EC%97%B0%EA%B5%AC%EC%86%8C&log=y 첨부파일 고려사세가.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고려사열전.hwp 파일 다운로드

펌) Farmer’s Well & Witty Birbal (우물만 팔고 물은 안 팔았다) [내부링크]

아래 내용은 대충 이러하다. 한 농부가 이웃에게 우물을 샀는데, 그 사람이 우물만 판 것이지 우물 안에 물을 판 것은 아니라고 우기면서 우물물을 못 길어가게 생떼를 쓰니, 궁에 가서 억울함을 호소하여 재판으로 넘어가고, 유명한 재상 비르발이(Birbal)이 우물 판 사람이 꼼짝 못하게 판결을 내리는데... (머라고 했을까?) 출처: https://www.moralstories.org/farmers-well-witty-birbal/ Farmer's Well & Witty Birbal • Moral Stories Once a man sold his well to a farmer. Next day when a farmer went to draw the water from that well, the man did not allow him to draw the water from it. www.moralstories.org Once a man sold his well to a farmer.

여씨춘추(呂氏春秋 /hwp), 여씨춘추집해(_集解 pdf) 링크 [내부링크]

여씨춘추(呂氏春秋) 한문 원문 출처: 한국사사료연구소 첨부파일 여씨춘추.hwp 파일 다운로드 여씨춘추집해(상 .pdf) https://ink37.tistory.com/9 여씨춘추집해(하 .pdf) https://ink37.tistory.com/10 여씨춘추 현대 중국어(간체자) 번역 링크: https://www.digfamily.com/sprots/b62289ab58d49f0a43e4a6a9e7a90071.html 【呂氏春秋】全文譯文(一) 【呂氏春秋】是戰國末年(公元前「239」年前後)秦國丞相呂不韋組織屬下門客們集體編撰的雜家著作,又名【呂覽】。此書共分為十二紀、八覽、六論,共十二卷,一百十六篇,二十余萬字。在公元前239寫成,當時正 www.digfamily.com

염철론(鹽鐵論 .hwp) 원문, 염철론교주(.pdf) 링크 [내부링크]

《염철론》(鹽鐵論)은 기원전 81년 중국 전한 조정에서 있었던 논쟁을 기록한 책으로, 10권 60책이며, 저자는 환관(桓寬)이다. 염철론이 저술되기 전의 황제인 한무제는 철과 소금을 국가에서 독점하는 염철전매(鹽鐵專賣) 정책을 펼쳤는데, 이 정책을 계속할 것인지가 논쟁의 주제였다. 무제가 죽고 나서 소제의 섭정인 곽광은 전국의 학자들을 수도 장안으로 불러모아 경제정책에 대한 토론을 하게 했다. ---출처: 위키백과 염철론은 hwp 형식으로 용량은 1Mb 이하임. 다운로드 하려면 아래를 클릭... 첨부파일 염철론.hwp 파일 다운로드 염철론교주(_校注) pdf(34MB): https://cool.ntu.edu.tw/courses/8510/files/1222925?module_item_id=356413 鹽鐵論校注.pdf: 秦漢學術思想史 Intellectual History of the Qin and Han Dynasties 文件 鹽鐵論校注.pdf 鹽鐵論校注.pdf Download (34

순자(荀子), 순자집해 한문 원문(pdf) [내부링크]

순자(荀子)의 한문 원문(hwp)과, 이의 주해인 순자집해(荀子集解)의 일부 pdf 원문이다. #순자(荀子) #순자집해 순자의 출처는 한국사사료연구소이고 http://hsy.eoneo.com/sites/front.php/pds/sutra?code=sutra 순자집해 출처는 http://www.archive.org/details/universallibrary 첨부파일 순자.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순자집해1.pdf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순자집해2.pdf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순자집해3.PDF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순자집해4.PDF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순자집해5.PDF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순자집해6.pdf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순자집해7.pdf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순자집해8.pdf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순자집해9.PDF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순자집해10.PDF 파일 다운로드

한시외전교주(_校注) /pdf 링크 [내부링크]

한시외전교주(韓詩外傳校注): 청(淸) 주정채(周廷寀) 저술 pdf 형식이고 용량이 커서 네이버 박스에 링크 걸어둠. 한시외전교주 1 (28M): http://naver.me/xJqQpTyQ 韓詩外傳校注_第1冊.pdf dlrjsajsididill님이 공유한 문서를 확인하세요. naver.me 한시외전교주 2 (25M): http://naver.me/xAVuNgw8 韓詩外傳校注_第2冊.pdf dlrjsajsididill님이 공유한 문서를 확인하세요. naver.me 한시외전 백문 원문(hwp)은 아래 링크 https://blog.naver.com/hanmun_know/222990347253 출처: https://commons.wikimedia.org/

일요일은 발음이 [이료일]? [일료일]? (연음 vs ㄴ첨가) [내부링크]

일요일은 표준 발음이 [이료일]이라고 한다. 그러나 특정 지역이나 세대에서는 [일료일]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이료일] 발음은 '일요일'이 연음(連音)이 된 것이고, [일료일]은 '일요일'이 ㄴ첨가된 것이다. (엄밀히는 [일료일]은 '일요일'이 먼저 ㄴ첨가로 [일뇨일]이 되고, 그 다음에 'ㄴ'이 'ㄹ'로 동화되어 [일료일]로 된 것이다.) 그렇다면 ㄴ첨가는 무엇인가? 이것에 관하여 표준어 규정 표준 발음법 29항에 나와 있는데, 다음은 그 조항이다.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 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소리를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홑이불'은 [혼니불]로 '막일'은 [망닐]로 ㄴ이 첨가되어 발음되는 식이다. 그런데 ㄴ첨가가 규정에는 합성어와 파생어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한정한 듯하지만, 실제로는 단일 형태소인 한 단어에서도 ㄴ첨가가 일어난다. 그리고 ㄴ첨가가 독점적이지

노자(왕필), 노자교석, 도덕경(하상공)의 원문 (hwp), 노자집해(.pdf) 링크 [내부링크]

도덕경(道德經)의 주해인, 노자(老子: 왕필(王弼) 주(注)), 노자교석(老子校釋: 주겸지 주(注)), 도덕경(道德經: 하상공(河上公) 주(注))의 한문 원문이다. 노자집해(老子集解, 설혜(薛蕙))는 링크만 걸어둠. 첨부파일 노자(왕필).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노자교석.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도덕경(하상공).hwp 파일 다운로드 노자집해(pdf):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NCL-09052_%E8%80%81%E5%AD%90%E9%9B%86%E8%A7%A3.pdf File:NCL-09052 老子集解.pdf - Wikimedia Commons File : NCL-09052 老子集解.pdf Download Use this file Use this file Email a link Information Size of this JPG preview of this PDF file: 800 × 551 pixels . Other resol

명심보감, 명심보감(범입본) 한문 원문 .hwp [내부링크]

명심보감(明心寶鑑), 범입본(范立本), 해석(원문 포함) 원문. 명심보감(明心寶鑑)은 본래 고려시대 추적(秋適)이 편저했고, 명심보감 범입논은 이를 토대로 명나라 범입본(范立本)이 증보한 것이라고 함. 아래 첨부한 명심보감은 인흥재 사본이고, 범입본은 현대 중국어 번역 부분은 삭제했고 출처는 http://www.gsgd.url.tw/c/page/c011.html, 명심보감(번역포함) 출처는 전통문화연구회 사이버서당 http://www.cybersodang.co.kr/ 첨부파일 명심보감.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명심보감(범입본).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명심보감(번역포함).hwp 파일 다운로드 #명심보감 #범입본 #해석

화투 갑오띠기(가보띠기) 앱 (andro 4.4~ [내부링크]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가보띠기를 할 수 있는 앱입니다. 이 게임은 가보띠기를 기반으로 하지만, 약간 게임적인 요소를 가미했다. 그것은 9 말고도 다른 수자나 빼기 등의 띠는 다른 옵션(레벨)이 있고, 다섯 번 틀리면 게임이 끝나는 것 등이다. 그리고 팁 하나는 터치(클릭) 이벤트가 mouseup이니까, 잘못 터치했다 싶을 때 아직 손가락을 폰에서 떼지 않은 상태라면, 그대로 손가락을 끌어서 터치한 영역(화투패 등)을 벗어나면 된다. 이렇게 하면 터치는 무효가 된다. 대형 화면 폰에서 화투장이 너무 작게 보이면, 폰 설정을 '디스플레이 화면 크게'로 해 보세요. 갤럭시 스토어에서 '갑오'를 검색하여 설치하면 되고, (안드로이드 4.4 이상에서 가능하고, 등록이 중지되어 검색이 안 될 수도 있음) 이게 어려운 상황이면, 하단에 첨부한 파일을 폰에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면 됩니다. 안드로이드 4.4 이상에서 설치가 가능합니다. 아이폰 사용자나 앱 설치 없이 바로 브라우저에서 하려면 아래

記醜而博(기추이박), 順非而澤은 무슨 뜻? (공자 5대악) [내부링크]

孔子爲魯攝相,朝七日而誅少正卯. 門人進問曰,夫少正卯魯之聞人也,夫子爲政而始誅之,得無失乎? 孔子曰,居!吾語女其故.人有惡者五,而盜竊不與焉, 一曰心達而險,二日行辟而堅,三曰言僞而辯,四曰記醜而博,五曰順非而澤. 此五者,有一於人,則不得免於君子之誅,而少正卯兼有之. 故居處足以聚徒成羣,言談足以飾邪營衆,强足以反是獨立, 此小人之桀雄也,不可不誅也. 是以湯誅尹諧,文王誅潘止,周公誅管叔,太公誅華仕,管仲誅付里乙, 子産誅鄧析史付,此七子者,皆異世同心,不可不誅也. ≪詩≫曰,憂心悄悄,慍於羣小.小人成羣,斯足憂矣, 記醜而博(기추이박)은 이른바 공자가 말한 5대 악 중에 하나이다. 위에 보듯이 순자 유좌편에 이 구절이 나온다. 그렇다면 記醜而博은 무슨 뜻일까? 인터넷 검색하면, 이 구절의 해석이 다양하다. 그래도 대충 "괴이한 것을 기억하되(알되), 해박하다" 이런 의미에 가까운 듯하다. 앞 구절 行辟而堅, 言僞而辯로 유추해 보면, 記醜는 부정적인 의미로 博은 좋은 의미로 쓰였음이 짐작이 간다. 醜자를 순자집해에선 '괴이한 일'

초성(初聲) 음운의 오행 배속표 [내부링크]

초성이 각기 오행에 배당됨은 아래와 같다. 주로 이름 짓는 성명학에서 사용된다. 【초성의 오행(五行) 배속표】 오행 초성 木 ㄱ, ㅋ 火 ㄴ, ㄷ, ㄹ, ㅌ 土 ㅇ(모음), ㅎ 金 ㅅ, ㅈ, ㅊ 水 ㅁ, ㅂ, ㅍ 그러니까 이름이 ‘김영민’이면, 초성이 ㄱ, ㅇ, ㅁ이니, 오행 구성이 목>토>수가 된다. ‘이동열’이면 土>火>土가 되는 식이다. 대개는 표기(表記)에 기준하여 오행을 따진다. 그런데 우리 이름이 두음법칙, 연음법칙 등으로 인하여, 이름의 표기와 실제 발음되는 것하고 차이가 있는 경우가 있어, 발음으로 기준을 삼으면, 오행 산정에 혼란이 생길 여지가 있다. 이것은 과거에 음(자음)을 5음으로 분류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木에 해당하는 ㄱ, ㅋ은 아음(牙音)이고, 火에 속하는 ㄴ, ㄷ, ㄹ, ㅌ은 설음(舌音)이고, 土에 속하는 ㅎ은 후음(喉音)이고, 金에 속하는 ㅅ, ㅈ, ㅊ은 치음(齒音)이고, 水에 속하는 ㅁ, ㅂ, ㅍ은 순음(脣音)이다. 여기서 순음(脣音)이 土

모시정의(毛詩正義), 시경(詩經) 원문 [내부링크]

모시정의는 시경(詩經)에 공영달이 주석한 것이라고 한다. 원문과 주석 부분이 헷갈리니, 시경 원문도 함께 첨부한다. 이것을 하나하나 입력했을 이의 노고를 떠올리며 ... 모시정의 출처는 http://zh.wikisource.org/w/index.php?title=%E6%AF%9B%E8%A9%A9%E6%AD%A3%E7%BE%A9&variant=zh-hant 첨부파일 모시정의.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시경.hwp 파일 다운로드

논어(論語), 논어집주, 논어정의 원문 [내부링크]

논어, 논어집주(論語集註), 논어정의(論語正義) 원문 파일(hwp)이다. 논어집주는 주희(朱熹)가 저술한 것이고, 논어정의는 유보남(劉寶楠)이 저술한 것이다. 출처: 논어집주 http://zh.wikisource.org/w/index.php 논어정의 http://www.ourartnet.com/Sikuquanshu/Jingku/Zhushu/Sishu/001.asp 첨부파일 논어.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논어집주.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논어정의.hwp 파일 다운로드 #논어 #논어집주 #논어정의 #원문 #hwp #한문

육임(六壬) 프로그램 (사과삼전 자동 조식) [내부링크]

육임의 사과 삼전(四課三傳)을 자동으로 뽑는 프로그램이다. 바로 아래 링크한 주소를 클릭하면 된다. 거기에서 일진, 월장(月將), 시(時), 주귀(야귀)를 입력하면 바로 4과3전과 십이천장까지 알 수 있다. 아래 링크를 누르면, 바로 실행 된다. https://gb-gold.blogspot.com/2022/08/blog-post.html

한비자집해(韓非子集解), 한비자 원문 [내부링크]

왕선신(王先愼)이 찬한 한비자의 주해서인 한비자집해(韓非子集解)의 원문 파일(hwp)이다. 본인이 직접 입력한 것이라서,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한비자集解.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한비자.hwp 파일 다운로드

크롬에서 pdf 파일을 열지 말고 다운로드 하는 방법 [내부링크]

크롬 같은 브라우저에서 pdf 파일을 읽지 않고, 그냥 다운 받고만 싶은데 수가 없을까? 간단한 방법이 있다. 옵션만 바꿔 주면 된다. # 먼저 크롬의 우측 상단의 ː 삼점 모양을 눌러, 메뉴를 열어 [설정]을 선택한다. # 설정창에서 'pdf'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로 나온 [사이트 설정]을 선택. # [추가 컨테츠 설정]을 선택하고 다음에 [PDF 문서]를 선택한다. # 여기에서 기본 동작을 옵션을 'PDF 다운로드'로 체크 선택하면 된다.

춘추좌씨전, 춘추좌전정의 원문 .hwp [내부링크]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과 춘추좌전정의(春秋左傳正義)'의 한문 원문. 춘추좌전정의는 웹페이지에 간체자로 되어 있는 것을 한컴 워드에서 번체자로 바꿔 편집한 것이라, 중국식 정자체가 쓰였다. 또 번체자로 변환 과정에서 오류가 있을지 모르겠음. 춘추좌전정의 출처는 http://www.guoxue123.com/jinbu/ssj/zz/index.htm 첨부파일 左傳.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춘추좌전정의.hwp 파일 다운로드

한문 공부나 문법을 배우기 위한 자료(hwp)(2016.10) [내부링크]

한문을 공부하고 싶거나, 한문 기초나 문법 이론 같은 것을 알고 싶은데, 마땅한 것을 구하지 못했나요? 그런 분들을 위해 마련한 파일이다. 초보적인 내용도 있지만 중급자에 초점을 맞춰 작성된 것도 있어, 한문 생초보가 보기에는 조금 내용이 어려울 수도 있겠지만, 배움에 열정이 있다면 이런 것들은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겠다. 인터넷에서 얻을수 있는 자료로는 괜찮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의: 아래 첨부한 파일은 다운 받아서 개인적 용도로 사용은 가능하지만, 상업적인 용도로는 쓸 수 없다. 그리고 다른 인터넷(홈페이지나 블로그, 카페 등)에 아래 파일을 업로드하는 것도 금한다. 첨부 파일은 대략 328 쪽이고, 안에 내용은 아래와 같이 12과로 이루어졌고, 2016년 10월 수정한 것이다. 시작: 2008~ 현재 업로드: 2016.12 이번의 변동 추가: 1% 한자와 한문, 단어상의 특징, #어조사, 기타 어조사, 문장 구조, 어순, 도치문, 까다로운 문형, 흔히 쓰이는 어구나 표현,

맹자(孟子), 맹자집주, 맹자주소 원문 /hwp 맹자정의 /pdf [내부링크]

맹자(孟子)는 사서(四書)의 하나로 맹자(孟子)의 저작이고, 맹자집주(孟子集註)는 주희(朱熹: 주자(朱子)라고도 함)가 집주했다고 함. 맹자정의는 pdf 파일로 용량(66MB)이 커서 네이버 박스 링크 걸어둠. 출처- ‘맹자’는 ‘한국사사료연구소’에서, ‘맹자집주’는 ‘중화권위키소스’에서, ‘맹자주소’는 http://www.ourartnet.com/Sikuquanshu/Jingku/Zhushu/Sishu/004.asp 맹자정의는 https://annas-archive.org/md5/2e6ce40bdc920bac3765842560d67b98 첨부파일 맹자.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맹자집주.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맹자주소.hwp 파일 다운로드 맹자정의.pdf http://naver.me/Gz1agbPD

장자(莊子), 장자집해, 장자집석 원문 .hwp [내부링크]

장자(莊子), 장자집해(莊子集解. 왕선겸(王先謙) ), 장자집석(莊子集釋. 곽경번(郭慶藩)) 한문 원문. 출처- 장자집해: 중화권 모 사이트 장자집석: http://www.eywedu.com/zhuzi/index.htm 첨부파일 장자.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莊子集釋.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장자집해.hwp 파일 다운로드

가보띠기 하는 방법 [내부링크]

먼저 가보띠기란? ‘가보띠기(갑오띠기, 9띠기, 패띠기)’는 화투로 혼자 하는 놀이의 일종이다. ‘가보’란 말은 화투에서 아홉끗을 이르는 일본어 ‘가부(かぶ)’에서 왔다고 한다. 그런데 ‘가부(かぶ)’란 말도 포르투칼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화투가 일본에서 들어왔다는 것이 거의 정설이고, ‘가보’란 말도 일본에서 유래하니, ‘가보띠기’도 일본에서 유래한 것으로 짐작이 된다. 그런데 서양의 카드 게임 중에 디케이드(Decade)라는 것이 있는데, 게임 룰이 가보띠기와 유사해 보인다. 그러니까 가보띠기의 뿌리는 서양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도 조선 후기에 ‘수투(數鬪)’란 노름이 있었다고 하니, ‘가보띠기’가 ‘수투’와도 조금 관련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디케이드 게임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Decade_(card_game) 스마트폰 앱으로 가보띠기 하기 https://blog.naver.com/hanmun_know/222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