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의 원리와 소화방법 | 제거소화 vs 질식소화 vs 냉각소화 | 어떤 소화방법을 써야 하는지?


소화의 원리와 소화방법 | 제거소화 vs 질식소화 vs 냉각소화 | 어떤 소화방법을 써야 하는지?

소화의 원리 소화의 원리는 연소의 반대 개념으로 다음과 같이 연소의 4요소(가연물, 산소, 점화원, 연쇄반응)를 제거, 차단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연소가 진행되려면 세 가지 조건인 산소, 가연성 물질, 발화점 이상의 온도가 모두 만족되어야 합니다.

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차단하면 연소를 중단시킬 수 있습니다. 주로 산소를 차단하는 방법이 가장 흔히 쓰입니다.

이를 질식소화라고 합니다. 흔히 사용하는 분말형 소화기가 이 원리입니다.

연소의 4요소란? 연소의 4가지 요소는 불꽃, 연료, 산소, 열제어를 의미합니다.

이 4가지 요소가 조합되어야 연소가 일어납니다. 예를 들어, 요리할 때 양파와 소금을 구워보겠습니다.

연료는 구워지는 팬이 되고, 산소는 공기입니다. 이제 팬에 플라스틱 팬커를 꽂고.....


원문링크 : 소화의 원리와 소화방법 | 제거소화 vs 질식소화 vs 냉각소화 | 어떤 소화방법을 써야 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