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성리학의 절대화 경향


조선 성리학의 절대화 경향

예학의 발달 전기 : 주례와 왕실의 예인 오례 강조 -> 성종 때 국조오례의 편찬 중기 : 사림의 등장과 함께 성리학 이해 심화 및 예학 연구의 심화로 전례 논쟁 표출 발생 ㄱ. 배경 : 기묘사림들의 주자가례와 고례 중시 -> 국조오례의파와 고례파의 전례 논쟁 발생 ㄴ. 논쟁 : 중종 때 왕실 전례 논쟁, 선조 때 흑립과 백립 논쟁, 광해군 때 공빈추승 논쟁, 인조 때 원종추숭 논쟁 등 발생 ㄷ. 영향 : 김장생의 가례집람, 정구의 오선생예설분류 등 예서 저술 -> 학파별 예론이나 예설 차이 발생 양란 이후 : 예적 질서의 회복 강조, 예교와 예치 중시로 예학 더욱 발달 예송 논쟁 ㄱ. 배경 : 자의대비의 복제를 놓고 인조의 차자로서 종통을 이은 효종의 지위 해석 문제 ㄴ. 서인 : 천하동례, 사대부 중심 정치, 신권 정치 지향 ㄷ. 남인 : 왕사부동례, 군주 전제권 인정, 왕권 중심 정치 지향 ㄹ. 기해예송(1659~1660) a. 발단 : 효종의 사망 직후 인조의 계비인 자의대비...



원문링크 : 조선 성리학의 절대화 경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