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미자편 제3장 자신의 능력과 역량이 적절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상황도 있다


논어 미자편 제3장 자신의 능력과 역량이 적절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상황도 있다

논어 미자편 제3장 자신의 능력과 역량이 적절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상황도 있다 齊景公待孔子,曰:「若季氏則吾不能,以季、孟之閒待之。」曰:「吾老矣,不能用也。」

孔子行。 "제경공대공자, 왈: '약계씨즉오불능, 이계맹지간대지.'

왈: '오로의, 불능용야.' 공자행."

논어 미자편 국정논의 뤼튼 이미지 신출한자 若: '같을 약'이라는 한자로, '만약', '만일' 등의 뜻을 가진 접속사입니다. 季氏: '계씨'라는 한자로, 제나라의 대부 중 한 명을 가리킵니다.

以: '써 이'라는 한자로, 수단이나 방법을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老: '늙을 로'라는 한자로, '늙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입니다.

해석 제나라 경공이 공자를 어떻게 대우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있어서 "노나라 임금이 계손씨처럼 대우할 수는 없고, 계손씨와 맹손씨의 중간 정도로 대우하겠소." 라고 말했다.

그러나 얼마후 다시 말했다. "나는 늙어서 공자를 등용할 수 없다."

그러자 공자께서는 제나라를 떠났다. 논어 미자편 철환천하 뤼튼 이...


#공자 #미자편_제3장 #미자편_3장 #미자편 #면담 #논어미자편 #논어_미자편_제3장 #논어_미자편_3장 #논어 #국정논의 #철환천하

원문링크 : 논어 미자편 제3장 자신의 능력과 역량이 적절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상황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