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바이오로보틱스 연구소, 드론 발과 팔 연구


서울대 바이오로보틱스 연구소, 드론 발과 팔 연구

서울대 바이오로보틱스 연구팀은 조류의 발에서 착안한 드론 발을 개발했습니다. 해당 연구는 2023년 11월 발표되었습니다만 유튜브 채널에 실험 영상이 최근 올라와 다시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이 연구의 물체를 움켜쥐는 능력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드론의 응용 범위를 확장하는것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전기줄 고소 작업이나 나무 가지에 착륙해 장시간 정찰하는 등의 다양한 드론 작업에 응용이 가능하겠죠.

공중에서 움켜쥐는것의 어려움은 드론의 발과 목표물의 충돌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대상을 파지 위해서는 발이 충격 에너지를 부드럽게 흡수하는 동시에 단시간에 강력하게 움켜쥐는 동작이 필요합니다.

서울대 연구진의 이번 연구는 조류의 발톱이 생물학적으로 작동하는 원리에서 착안했는데요. 이 그립퍼는 부드러운 힘줄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고 발톱을 움켜쥐는 움직임을 연동시킴으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그립퍼는 컨트롤러나 작동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고도 대상에 접촉한 뒤 45ms 이내 ...


#IEEE #연구소 #조류 #종이접기 #특허 #팔과다리 #페이로드장비 #확장성 #효율성검증 #실험영상 #실증테스트 #고소작업 #그립퍼 #단일전기모터 #드론 #바이오로보틱스 #발톱 #사이언스지 #서울대 #힘줄

원문링크 : 서울대 바이오로보틱스 연구소, 드론 발과 팔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