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eyunmoney의 등록된 링크

 jaeyunmoney로 등록된 티스토리 포스트 수는 20건입니다.

개혁군주 공민왕 [내부링크]

고려시대 왕 중에서 태조 왕건 다음으로 잘 알려진 왕이 제31대 왕 공민왕(1330~1374, 재위 1351~1374)일 것이다. 그의 이미지는 한마디로 정의하면, 개혁군주이다. 고려 말에 원나라 지배에서 벗어나고자 과감한 개혁정치를 단행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부인인 노국공주와의 애틋한 사랑, 요승으로 알려진 신돈의 등용 등 여러 가지 드라마틱한 요소가 많은 왕이기도 하다. 공민왕이 살았던 시기는 국내외 정세가 격동하던 때였다. 원나라 지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충렬왕대 이후 고려 국왕은 폐위와 복위가 반복되는 자리였다. 충렬·충선·충숙 세 왕이 각각 중간에 한 차례씩 폐위되었다가 복위하였고, 충혜·충목·충정 세 왕은 각각 5년도 채 안 되어 폐위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고려왕조가 극심한 불안 상..

여걸 천추태후 [내부링크]

고려를 세운 왕건은 각 지역 호족들을 규합하기 위해 30여 개의 호족집안 딸들과 결혼을 했다. 그 가운데 황주 지역의 호족 출신인 황주원부인도 있었다. 황주의 황보씨들은 강력한 군사력으로 후삼국 통일에 기여한 바가 컸다. 황주원부인의 아들인 왕욱이 천추태후의 아버지이다. 어머니는 선의왕후로, 왕건이 정덕왕후와의 사이에서 얻은 딸이다. 그러니까 아버지와 어머니가 모두 왕건의 자손이다. 이복남매끼리의 혼인인데, 고려 초기 왕실에서는 흔한 일이다. 당시 왕실의 여자들은 거의 왕족과만 결혼했다. 왕건의 손녀이며 경종의 비, 목종의 어머니였던 천추태후(千秋太后, 964~1029)는, 조선시대에는 나라를 어지럽힌 음탕한 여인으로 비난받아왔다. 그러나 이는 당대의 관습을 무시한, 조선의 성리학적 사관에 입각한 평가이..

조선의 국모 명성황후 [내부링크]

명성황후는 조선후기 제26대 고종의 왕비이다. 1851년(철종 2)에 태어나 1895년(고종 32)에 사망했다.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와 서울에서 생활하다 왕비로 간택되었다. 1873년 성인이 된 고종이 친정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척족세력을 규합하여 정치적 협력자로 나서서 시아버지 대원군과 대립했다.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등 거듭된 국내 정변의 중심에 있었고, 청·일의 간섭으로 인한 혼란 속에 러시아에 의지하여 일본을 견제하려 하자 위기를 느낀 일본이 살해했다. 사후 고종이 황제국으로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황후로 추숭 되었다. 명성황후(1851~1895)는 조선시대사뿐만 아니라 한국사 전체를 통틀어 매우 독특한 행보를 보여준 왕비였다. 역사상 권력의 정점에 오른 왕비들은 종종 있었지만, 그들이 권력..

매국노 이완용 [내부링크]

1858년 6월 7일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백현리(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서 출생하였으며 본관은 우봉(牛峰) 이 씨이다. 부친은 이호석(李鎬奭)이며 집안이 가난하여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했다. 1867년 10세 때 친척이자 예방승지(禮房承旨)로 있던 이호준(李鎬俊)의 양자로 들어가면서 형편이 달라졌다. 당시 후계자를 위해 가문에서 총명한 아이를 양자로 들이는 것은 흔한 일이었다. 이호준은 청렴한 관리로 고종의 신임을 받고 있었으며 이완용은 양부의 영향을 받았다. 1870년 13세 때 양주조 씨(楊州趙氏)와 혼인하였다. 1882년(고종 19) 증광별시에 문과로 급제하였고 1886년 규장각대교(奎章閣待敎)에 임명되었다. 이후 검교(檢校)·홍문관 수찬(修撰)·동학교수(東學敎授)·해방영군사마(海防營軍司馬..

도마 안중근 의사 [내부링크]

내가 한국독립을 회복하고 동양평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3년 동안을 해외에서 풍찬노숙하다가 마침내 그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이곳에서 죽노니, 우리들 2천만 형제자매는 각각 스스로 분발하여 학문을 힘쓰고 실업을 진흥하며, 나의 끼친 뜻을 이어 자유 독립을 회복하면 죽는 여한이 없겠노라. - 순국 직전 동포들에게 남긴 안중근의 마지막 유언 - 본관은 순흥(順興)이며, 1879년 9월 2일 황해도 해주(海州)에서 태어났다. 가슴과 배에 7개의 점이 있어 북두칠성의 기운에 응하여 태어났다는 뜻으로 아명(兒名)을 응칠(應七)이라 지었으며, 자라서는 자(字)로 사용하였다. 천주교 세례명은 토마스(도마)이다. 아버지는 진사를 지낸 안태훈이며 할아버지는 안인수로 진해현감을 지냈다. 할아버지가 미곡상을 하여 집안은 부유하..

연개소문 [내부링크]

연개소문은 삼국시대 고구려 제28대 보장왕의 즉위와 관련된 장수이다. 출생일은 미상이며 665년(보장왕 24)에 사망했다. 동부 대인이던 아버지의 직을 계승했으나 귀족세력들이 영류왕과 함께 자신을 제거하려 하자 정변을 일으켜 왕을 시해하고 보장왕을 세워 국정의 실권을 장악했다. 당의 도사들을 맞아들여 도교를 육성했다. 당시의 국제정세는 당의 대외팽창 정책으로 긴박한 형세였는데 강경 일변도의 대외정책을 구사했다. 화평을 청한 신라의 요청을 거부했고 당과의 전쟁도 불사했다. 연개소문이 살아 있는 동안 당은 고구려를 공격하지 못했다. 연개소문의 성(姓)은 ‘연(淵)’씨 혹은 ‘천(泉)’씨인데, 스스로 물에서 태어났다고 하여 대중을 현혹시켰다고 한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그의 가계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바보온달 [내부링크]

온달(溫達)은 역사적 인물이자 문학적인 인물이다. 평강왕 시대 고구려의 대형(大兄) 벼슬을 한 장수였는가 하면, 김부식의 노련한 붓놀림으로 매우 드라마틱한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었다. 이는 우리 역사상 특이한 경우에 속한다. 바보에서 장수까지 가장 극적인 생애를 살다 간 온달에게 많은 사람의 애정과 관심이 끌리는 것은 당연하다. 그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수사의 전모를 살펴보자. 고구려 평원왕~영양왕 때의 장군으로 북주(北周)와의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신라에 빼앗긴 한강 유역의 영토를 회복하기 위해 출정하였다가 아단성(阿旦城)에서 전사했다. 고구려 제25대 평강왕(재위 559∼590)은 평원왕또는 평국왕이라고도 한다. 태어난 해는 알 수 없으나, 양원왕의 큰아들로 태어나 왕 13년(557)에 태자가 되고..

군주 광해군 [내부링크]

광해군(光海君, 1575~1641)은 재위기간(1608∼1623) 동안 자신의 왕위를 위협하는 정적들을 대상으로 수 차례 옥사를 일으켰고, 외교에서는 실리외교를 선택하였다. 이런 그의 정치적 태도는 결국 인조반정으로 축출되기에 이르렀고 끝내 묘호조차 갖지 못한 군주가 되었다. 조선왕조 제15대 왕으로 재위기간은 1608년에서 1623년까지이다. 이름은 이혼(李琿), 본관은 전주, 선조(宣祖)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공빈 김 씨(恭嬪金氏)이며 비(妃)는 판윤 유자신(柳自新)의 딸이다. 1592년(선조 25) 4월, 20만 일본군이 부산포 앞바다에 물밀 듯이 밀려왔다. 이른바 임진왜란의 시작이었다. ‘7년전쟁’이라고도 불리는 임진왜란은 전투 초반 한성이 함락되고, 국왕이 의주로 몽진하는 등 패색이 짙었다. ..

폭군 연산군 [내부링크]

1476년(성종 7) 11월 7일 조선의 9대 왕인 성종의 맏아들(적장자)로 출생하였다. 어머니는 후궁이었다가 성종의 총애를 받아 왕비에 오른 윤 씨이다. 당시 연산군의 어머니 윤 씨는 성종(成宗)의 첫 번째 후궁이었으며 이후 연산군을 잉태하면서 비(妃)로 책봉되었다. 이름은 이융(李)이고 7세 때 세자로 책봉되었다. 서연(書筵)을 통해 세자로서 수업을 받았으며 그의 학문적인 소양은 선대 왕들에 비해 부족하지 않았다. 1494년 성종이 사망하자 조선의 제10대 국왕으로 즉위했다. 조선 제10대 국왕 연산군(燕山君, 1476. 11. 7~1506. 11. 6, 재위 1495~1506)은 조선시대뿐 아니라 한국사 전체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군주일 것이다. 그 명성은 물론 오명이다. 12년에 걸친 길지 않은 ..

현모양처 신사임당 [내부링크]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여류 문인 시와 그림에 능한 예술가이자 율곡 이이를 낳은 훌륭한 어머니. 48세를 일기로 작고할 때까지 그리 길지 않은 삶을 살았지만, 훌륭한 작품을 남긴 천재 화가로서, 그리고 위대한 학자이자 정치가였던 율곡 이이의 어머니로서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 사임당은 현모양처(賢母良妻)를 상징하는 인물로 5세기가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추앙받고 있다. 우리 역사에서 신사임당만큼 존경받은 여성도 드물다. 그녀에 대한 관심과 사랑은 여성 최초로 고액권인 5만 원 화폐 도안 인물로까지 이어졌다. 선덕여왕, 유관순 열사 등 몇몇 후보 인물들이 있었지만,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존경해 마지않는 신사임당이 최종 인물로 선정되었다. 그녀의 삶은 50년이 채 안 되지만 그녀에 대한 한국인들의..

고구려의 영웅-광개토대왕 [내부링크]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 374~412, 재위 391∼412)은 18세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소수림왕과 고국양왕이 갖추어준 바탕에서 대정복 전쟁을 수행하였고 국경 북쪽으로는 연 나라, 남쪽으로는 백제 그리고 바다 건너 일본에까지 고구려의 힘을 과시하며 자신의 영토를 넓혔다. 그리고 숙신과 동부여마저 광개토대왕의 위력 앞에 떨게 하였다. 광개토대왕이 이룬 최강 고구려는 아들 장수왕에 이르러 절정을 치닫는다. 그 같은 고구려의 화려한 면면은 광개토대왕의 비문으로 남아 오늘날 우리에게 여실히 전해진다. 39년의 짧은 생애 동안 광개토대왕이 이룩한 이 공적은 서양의 정복왕 알렉산더와도 비견되는 우리 민족의 영광이고 자랑이다. “왕의 은택이 하늘까지 미쳤고, 위엄은 온 세상에 떨쳤다. 나쁜 무리를 쓸어 없..

연산군의 여자-장녹수 [내부링크]

가난해서 시집도 여러 번 가고 자식까지 둔 여인이 왕에게 발탁되어 궁궐에 들어갔는데 바로 장녹수(張綠水,?~1506)이다. ‘연산군’ 하면 꼬리표처럼 따라다니는 여인 장녹수는 흥청(興淸)이라는 기생 출신에서 일약 후궁의 지위에까지 올랐으니 연산군 시대의 신데렐라였다고나 할까? ㅎㅎ 30세의 나이에도 16살 꽃 다운 여인으로 보였다는 동안(童顔) 장녹수는 자식을 둔 후에도 춤과 노래를 배워 기생의 길로 나섰고(현대시대로 보자면 여자 아이돌??), 궁중으로 들어와서는 연산군의 총애를 한 몸에 받아 후궁이 되었다. 후궁이 된 장녹수는 연산군의 음탕한 삶과 비뚤어진 욕망을 부추기며 자신의 욕망을 채워나갔는데 그녀는 많은 금은보화와 전택(田宅) 등을 하사 받았고, 연산군의 총애를 발판 삼아 정치를 좌지우지하였다...

조선의 역사-홍국영 몰락과 죽음 [내부링크]

지난 포스팅은 홍국영의 어린 시절과 정조의 최측근 즉 오른 날개로 불리기 까지의 과정을 적었고 이번 글은 그의 집권기 활동과 몰락과 죽음에 관하여 포스팅을 해 보겠습니다 홍국영은 1776년 3월 정조가 즉위하고 3일 만에 전격적으로 승정원 동부승지(오늘날의 대통령 비서실) 에 발탁되었다. 그리고 7월에는 승정원 최고직인 도승지(지금의 대통령비서실장 격)로 승진된다. 이후 홍국영은 정계에서 물러날 때까지 거의 줄곧 도승지직을 맡았다(원빈 사후 약 2개월 동안 물러난 적이 있었음) "지신사"는 이 당시의 도승지의 별칭인데 이는 곧 홍국영을 가리키는 대명사처럼 사용되었다고 한다. 이 밖에 문관으로는 춘추관 수찬관, 경연 참찬관 예문관 직제학, 규장각 직제학, 홍문관 제학, 대사헌, 이조참판 등을 역임했다. 군..

백제의 마지막 왕-의자왕 [내부링크]

백제의 마지막 왕인 의자왕은 매우 총명한 왕으로 ‘빼어나게 용맹스러웠으며 담대한 결단력이 있었다’고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해동증자’라(효를 강조했던 중국의 사상가 증자에 빗대어 부른 말) 불리며 성군 소리를 들었고, 멸망하기 불과 5년 전만 해도 신라를 공격해 30여 성을 빼앗았다는 기록이 전할 만큼 적극적인 정복사업을 벌이던 의자왕(?~660, 재위 641~660)이 13만 대군 나, 당연합군의 침입을 받고는 무기력하게 700여 년의 백제가 멸망하였다. [삼국사기]에 전하는 대로 음란과 향락에 빠져 정사를 등한시하고 간신들에게 놀아났던 것인가??? 의자왕은 무왕의 맏아들로 용감하고 담력이 뛰어나 일찍부터 능력을 인정받았다. ‘서동요’로 널리 알려진 서동과 선화공주의 유명한 로맨스를 기록한 [..

일제강점기 마라톤 영웅-손기정 [내부링크]

일제 강점기 온 국민의 마음에 자긍심을 심어준 우리의 영원한 영웅 손기정 옹에 대한 글을 써보고자 한다. 출생-사망:1912~2002.11.15 평안북도 신의주에서 태어났고 16세 때 중국 단둥의 회사에 취직하여 신의주~압록강 철교~단둥에 이르는 20여 리 길을 매일 달려서 출퇴근한 유명한 일화가 있다. 1932년 신의주 대표로 제2회 동아마라톤대회에 참가하여 2위를 차지하였고 1937년 양정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40년 일본 메이저대학을 졸업했다. 2002년 11월 15일 향년 9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며, 이후 대한체육회에 의하여 2011년 스포츠영웅으로 김성집 대한체육회 고문과 함께 선정되었다. 1936년 8월 9일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 운집한 12만 명의 관중들은 숨죽이며 곧이어 스타디..

조선의 역사-정조의 오른날개 홍국영 [내부링크]

오늘은 조선의 역사 인물 중 정조대의 세도 정치가 홍국영에 관하여 포스팅을 해 보겠습니다. 홍국영(1748년~1781년 4월 28일)은 조선 영조, 정조대의 세도 정치가이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덕로(德老)이다 세손궁의 궁료시절 때부터 정조의 총애를 얻었고, 정조 즉위 후 부홍파를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했다. 실제 축출 이유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세간에는 흔히 권력을 잡은 후 세도를 부리다가 축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버지는 홍낙춘이고 어머니는 우봉이 씨로 이유(李維)의 딸이며 당시 아버지 홍낙춘은 관직이 없었다. 훗날 딸이 원빈으로 간택되면서 가감역, 호조참의 등을 역임하게 된다. 홍낙춘은 서울 풍산 홍 씨들의 비조격인 홍이상의 8대손이며 선조의 적녀 정명공주와 영안 위 홍주원의..

조선의 역사-흥선대원군의 집권기 [내부링크]

오늘은 조선의 역사 중 흥선대원군이 집권하여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였던 흥선대원군의 집권기에 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철종(1831년 7월 25일~1864년 1월 16일,조선 25대 왕)은 1858년 유일한 적장자 이용준이 태어났지만 6개월 만에 사망하였고 후궁들에게서 얻은 아들들 또한 영아기에 사망하였고 자녀 중 유일하게 혼례를 치른 영혜 옹주 또한 14세에 사망하여 후손이 단절되어 철종의 뒤를 이어 흥선군의 어린 둘째 아들이 순조(조선 23대 왕)의 양자가 왕위에 올라 고종(대한제국의 초대 왕)이 되었다. 흥선군은 고종의 아버지로서 대원군이 되어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였다. 흥선대원군은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기로 하고 실추된 왕권을 회복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그래서 정권을 잡자마자 세도 정권을 무너뜨리는데 ..

조선의 역사-후기 [내부링크]

지난 포스팅은 조선의 중기에 관해 써 보았습니다 오늘은 조선의 역사 중 흥선대원군이 집권을 하기 전까지의 조선 역사 후기를 포스팅 해 보겠습니다 인조반정으로 정권을 잡은 세력은 동인이 아닌 서인들이다. 서인들의 정치력은 근본적으로 지주제에 토대하였고, 그들의 개혁안은 일정한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에 서인 정권은 기득권 세력의 움직임에 미봉적으로 대처할 수밖에 없었다. 겉으로는 남인 측의 도전으로 서인 정권의 위기가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남인은 서인이 주도하는 정국에서도 꾸준히 진출하였다. 윤선도는 현종의 스승이지만 남인 계열로서, 야당적 입장에 오랫동안 머물러온 남인의 지위를 부상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남인들은 서인 정권이 추구한 북벌 운동의 무모함과 개혁의 부당성을 지적하면서 예송(禮訟)을 일..

조선의 역사-중기 [내부링크]

오늘은 조선왕조 오백년 역사중에서 조선중기에 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명종 때 훈구파를 몰아내고 조정의 실권을 잡은 사림은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며 붕당정치가 시작되는데 시대가 흐르면서 제도의 결함이 드러나기 시작하였다. 특히 신진 사류의 불만이 쌓이게 되는데 지배계급의 경제적 기반인 토지제도의 문란에 따른 훈구파 재상의 대토지 소유는 토지 배분의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됨으로써 불만이 쌓이게 되며 이는 여러 번에 걸쳐 사화라는 참극을 빚어내는 계기가 되었다. 신진 사류들이 벼슬을 그만두고 지방에 내려가 학문에만 열중하는 경향이 있었으니 이는 신진 사류들이 빈번히 화를 당하였기 때문이다. 선조 때에는 서류들을 등용하기 시작하니 이는 사류 들이 승리를 거둔 셈이라고 봐야겠다. 그러나 이번에는 당쟁이라 하여 사..

조선의 역사 전기 [내부링크]

오늘은 찬란했던 조선 왕조 시대 중 조선 전기에 관해 포스팅 해 보겠습니다.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뉜다.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눈다면 전기와 중기로 보고 전기-중기-후기로 보기도 하며 전기, 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 중기, 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중종반정이며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다. 고려는 14세기 말 당시 한반도를 지배하고 있었다. 고려의 내부는 기존 귀족 세력인 권문세족과 그에 반발하는 신진 사대부들이 대립하여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을 연출하였고 외부적으로는 홍건적과 왜구의 약탈 그리고 원나라에서 명나라로 이어지는 원명 교체기의 혼란스러움으로 굉장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혼란스러운 이 무렵 고려의 북방은 이성계가 이민족의 침입을 여러 차례 물리치고 명성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