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집주(孟子集注) 양혜왕하(梁惠王下) 2-12] 戒之戒之! 出乎爾者, 反乎爾者也. (네게서 나온 것은 네게로 돌아간다)


[맹자집주(孟子集注) 양혜왕하(梁惠王下) 2-12] 戒之戒之! 出乎爾者, 反乎爾者也. (네게서 나온 것은 네게로 돌아간다)

鄒與魯鬨. 穆公問曰: “吾有司死者三十三人, 而民莫之死也. 誅之, 則不可勝誅; (추여노홍 목공문왈 오유사사자삼십삼인 이민막지사야 주지 즉가승주) 추나라와 노나라가 싸웠다. 목공이 물어 말하기를: 내가 관리 중에 죽은 사람이 삼십삽 명이 있는데, 백성 중에 아무도 죽지 않았다. 그들을 (다) 죽이자니, 죽일 수 없을 만큼 많고; 不誅, 則疾視其長上之死而不救, 如之何則可也?” (불주 즉질시기장상지사이불구 여지하즉가야) 죽이지 않으려니, 윗사람의 죽음을 보고 구하지 않은 것이 괘씸하니, 어찌해야 좋을까요? 鬨, 胡弄反. 勝, 平聲. 長, 上聲, 下同. 鬨, 鬪聲也. 穆公, 鄒君也. 不可勝誅, 言人衆不可盡誅也. 長上, 謂有司也. 民怨其上, 故疾視其死而不救也. 홍은, 싸우는 소리다. 목공은, 추나라 임금이다. 불가승주는, 사람이 많아 다 죽일 수 없다는 말이다. 장상은, 임무를 맡은 관리를 말한다. 백성이 그 윗사람을 원망하기 떄문에, 그 죽음을 보고도 구하지 않은 것이 밉다. 孟子對曰: “...



원문링크 : [맹자집주(孟子集注) 양혜왕하(梁惠王下) 2-12] 戒之戒之! 出乎爾者, 反乎爾者也. (네게서 나온 것은 네게로 돌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