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장구(大學章句) 전(傳) 3-1,2,3] 釋止於至善 (지어지선을 해석함)


[대학장구(大學章句) 전(傳) 3-1,2,3] 釋止於至善 (지어지선을 해석함)

詩云: “邦畿千里, 惟民所止.” (시운 방기천리 유민소지) 시에 이르기를: 나라의 수도가 천리고, 오직 백성이 머무는 곳이다. 詩商頌「玄鳥」之篇. 邦畿王者之都也, 止居也. 言物各有所當止之處也. 시 상송의 현조편이다. 벙가눈 왕자(천자)의 도읍이고, 지는 머물러 사는 곳이다. 사물(람)이 각자 마땅히 머무르는 곳이 있음을 말한다. 詩云: “緡蠻黃鳥, 止于丘隅.” (시운 면만황조 지우구우) 시에 이르기를: 꾀꼴 꾀꼴 우는 꾀꼬리가, 언덕(산이 깊고 울창한 숲)에 머무는구나라고 했다. 詩小雅「緡蠻」之篇. 緡蠻鳥聲. 丘隅岑蔚之處. 시 소아 민만편이다. 울어대는 새 소리다. 구우는 산이 험하고 초목이 우거진 곳이다. 子曰: “於止, 知其所止. 可以人而不如鳥乎!” (자왈 어지 지기소지 가이인이불여조호) 공자가 말하기를: 머무는 데 있어서, 머물 곳을 아는데, 사람이 새보다 못할 수 있는가! 子曰以下孔子說詩之辭. 言人當知所當止之處也. 자왈 아래는 공자가 시의 말을 설명한 것이다. 사람이 마땅히 ...



원문링크 : [대학장구(大學章句) 전(傳) 3-1,2,3] 釋止於至善 (지어지선을 해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