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집주 미자(微子) 18-7] 子路從而後 (군신의 의)


[논어집주 미자(微子) 18-7] 子路從而後 (군신의 의)

子路從而後, 遇丈人, 以杖荷蓧. (자로종이후 우장인 이장하조) 자로가 따르다가 뒤쳐졌는데, 지팡이로 삼태기를 멘 노인을 만났다. 蓧, 徒弔反. 丈人, 亦隱者. 蓧, 竹器 장인(丈人)은, 또한 은자다. 조(蓧)는, 대나무 그릇이다. 子路問曰: “子見夫子乎?” 丈人曰: “四體不勤, 五穀不分. 孰爲夫子?” 植其杖而芸. (자로문왈 자현부자호 장인왈 사체불근 오곡불분 숙위부자 치기장이운) 자로가 물어 말하기를: 선생님을 보셨는가요? 노인이 말하기를: 사지를 움직이지 않고, 오곡을 분별하지 못하는데, 누가 선생님이 되는가? 지팡이를 꽂아 두고 김을 맸다. 植, 音値. 分, 辨也. 五穀不分, 猶言不辨菽麥爾, 責其不事農業而從師遠遊也. 植, 立之也. 芸, 去草也. 분은, 구분한다는 것이다. 오곡불분은, 말하자면 콩과 보리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과 같으니, 농사짓는 일을 하지 않고 스승을 따라 멀리 다니는 것을 책망한 것이다. 치는, 세운다는 뜻이다. 운은, 풀을 뽑는 것이다. 子路拱而立. (자로공...



원문링크 : [논어집주 미자(微子) 18-7] 子路從而後 (군신의 의)